사취당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최홍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최홍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목판본. 1898년 8세손 동현(東炫)이 증보, 중간하였다. 권두에 권순명(權純命)·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기우만(奇宇萬)과 7세손 상헌(相憲) 및 동현 등의 발문이 있다.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의 선암문고(仙巖文庫)에 있다.

시 20수, 가(歌)·서(書)·책(策)·기(記) 각 1편, 표(表) 4편,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출한 「술회(述懷)」·「자서(自誓)」 등과 유람시인 「유풍국사(留豊國寺)」·「망해정야작(望海亭夜作)」 등이 있다.

가(歌)의 「직신가(直臣歌)」는 1689년(숙종 15) 폐비 인현왕후(仁顯王后)를 변호하다가 죽음을 당한 오두인(吳斗寅)·박태보(朴泰補) 등의 충절을 기리는 내용이다.

우주의 이치와 인간생활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논술한 「동지책(冬至策)」 외에 중국의 역사를 논한 표(表)들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