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수대엽 ()

목차
관련 정보
원객유운 / 삼수대엽
원객유운 / 삼수대엽
국악
작품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목차
정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내용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초수대엽>·<이수대엽> 다음에 부르는 세번째 곡이라 하여 일명 ‘셋째치’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명칭은 조선 후기의 가곡 형성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많은 파생곡이 첨가된 이후 오늘날 <초수대엽>·<이수대엽>과 <삼수대엽> 사이에 <중거>·<평거>·<두거>가 들어 있어 여섯번째 곡에 해당한다.

<삼수대엽>은 가곡 남녀창 중 남창으로만 불리며, <우조삼수대엽>과 <계면조삼수대엽> 두 곡이 있다. <삼수대엽>의 음악 내용은 음계·장단·형식·사설붙임법 등은 가곡의 원곡인 <초수대엽>과 동일하나, 다만 선율이 <초수대엽>·<이수대엽>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음역도 <삼수대엽>은 탁중려(㑖=Ab)로부터 청중려(㳞=ab)에 이른다(단, 우조삼수대엽의 끝음만은 탁태주이다).

<우조삼수대엽>의 음계는 <초수대엽>과 같이 황종(eb)·태주(f)·중려(ab)·임종(bb)·남려(c)의 5음 음계이고, <계면조삼수대엽>은 황·중·임의 3음 음계이며, 장단은 가곡의 기본장단인 10점 16박을 사용한다. 또한, 장의 구성도 5장(章) 2여음(餘音)으로 되어 있다.

한편 <삼수대엽> 선율의 특징은 제1장에서 청황종(eb′)으로 시작하여 남려(c)로 진행하는 점에서는 <두거>와 다르지만, 제2장에는 <초수대엽>보다 <두거>에 가깝다. 따라서 가곡의 <이수대엽> 이하 <중거>·<평거>·<두거>·<삼수대엽>·<소용>은 차례로 뒤로 갈수록 선율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조선 후기에 편찬된 ≪가곡원류≫에서는 <삼수대엽>의 음악적 형용을 “장군이 멀리 싸움터로 출정하고, 춤추는 칼이 도적을 무찌른다(轅門忠將 舞刀提賊). ”라고 묘사한 바 있다. <삼수대엽>의 사설은 정격(正格)의 시형(詩形)을 사용하는데, <우조삼수대엽>에는 ‘도화이화(桃花梨花)’·‘적토마(赤兎馬)’·‘추강(秋江)에’·‘굴원충혼(屈原忠魂)’·‘가마귀’ 등 다섯 개가 있으며, <계면조삼수대엽>에는 ‘석양에’·‘이런들’·‘박랑사중’·‘백년을’·‘삭풍(朔風)은’ 등 다섯 가지가 있다.

참고문헌

『가곡원류(歌曲源流)』
『남창가곡백선(男唱歌曲百選)』(김기수 편, 대한대악원, 1979)
『여창가곡(女唱歌曲)여든여덜닢』(김기수, 은하출판사, 1980)
『가곡보』(이주환, 은하출판사, 1988)
『한국전통가곡전집』(김경배·김월하 창, 정농악회 연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7)
『한국음악선집』 13-남창가곡(男唱歌曲):우조(羽調)-(이동규·홍원기·전효준 창, 국립국악원, 1984)
『한국음악선집』 14-남창가곡(男唱歌曲):계면조(界面調)-(김경배·이동규 창, 국립국악원, 198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황준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