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우 ()

목차
관련 정보
삼우(취여대선사)
삼우(취여대선사)
불교
인물
조선후기 대흥사 13종사 가운데 1인으로 경열의 법맥을 계승한 승려.
이칭
취여(醉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2년(광해군 14)
사망 연도
1684년(숙종 10)
출생지
전라남도 강진 보암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대흥사 13종사 가운데 1인으로 경열의 법맥을 계승한 승려.
내용

선승(禪僧). 조선후기 대둔사(大芚寺: 현재 대흥사) 13종사(宗師) 가운데 1인이다. 호는 취여(醉如), 성은 정씨(鄭氏). 전라남도 강진(康津)보암방(寶巖坊) 출신. 어려서 출가하여 만덕산 백련사(白蓮寺)에서 승려가 되었다.

그 뒤 전국의 명산을 다니면서 불교를 비롯한 내외전(內外典)을 공부하였고, 해운 경열(海雲敬悅)의 법문을 듣고 크게 깨달아,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제자 소요 태능(逍遙太能)에서 경열로 전해진 소요파의 법맥을 이어받았다. 특히, 담론(談論)을 잘하여 듣는 이들을 모두 설복시켰다고 한다.

대흥사 상원루(上院樓)에서 『화엄경』의 종지(宗旨)를 강설했을 때는 청중이 수백인이 넘었다. 그때 한 농부가 누각 아래에서 쉬다가 법문을 엿듣고 깨달은 바가 있어 제자로 삼아줄 것을 간청하였다. 그의 가르침에 따라 농부는 과거의 업장(業障)을 참회하고 화엄(華嚴)의 묘지(妙旨)를 얻었으며, 삼우는 전법제자(傳法弟子)로 삼고 의발(衣鉢)을 전하였는데, 그가 곧 화악 문신(華岳文信)이다.

이것은 중국의 오조홍인(五祖弘忍)이 나무꾼이었던 육조혜능(六祖慧能)에게 자신의 의발을 전한 고사(故事)와 비견되기도 한다. 1684년 6월 5일 63세로 입적(入寂)하였다. 제자들은 그의 영정(影幀) 2본을 그려서, 백련사와 대흥사에 봉안하였고, 대제학 한치응(韓致應)이 쓴 비(碑)는 대흥사에 있다.

참고문헌

『동사열전(東師列傳)』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