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척주동해비 및 평수토찬비 ( )

목차
관련 정보
삼척 척주동해비각 정측면
삼척 척주동해비각 정측면
서예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있는 조선후기 삼척부사 허목과 관련된 기적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삼척척주동해비및평수토찬비(三陟陟州東海碑및平水土讚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1년 12월 16일 지정)
소재지
강원도 삼척시 허목길 13-9 (정상동) 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있는 조선후기 삼척부사 허목과 관련된 기적비.
내용

높이 170㎝, 너비 76㎝. 1971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에 세운 것으로 비석의 크기와 모양이 같은 2기의 비석이며 각각 비각을 갖추고 있다.

척주동해비는 장방형의 화강석 기단 위에 오석(烏石 : 빛깔이 검은 돌)으로 된 비신을 세우고 개석(蓋石)은 생략하였다.

1661년(현종 2) 삼척부사 허목(許穆)이 동해의 풍랑으로 바닷가에 사는 백성들이 피해를 입는 일이 많아 이를 막고자 동해를 칭송하는 글인 「동해송(東海頌)」을 짓고, 그의 독특한 전서체(篆書體)로 비문을 새겨 바닷가에 세워서 풍랑을 진정시킨 비석이라 한다.

그 뒤 비석이 유실된 것을 1710년(숙종 36)에 삼척부사 박내정(朴來貞)이 유실한 비석의 탁본으로 옛 비석과 같은 비석을 다시 만들어 지금의 자리에 세웠다.

조선 영조 때 학자인 홍양호(洪良浩)는 “지금 동해비를 보니 그 문사(文辭)의 크기가 큰 바다와 같고, 그 소리가 노도와 같아 만약 바다에 신령이 있다면 그 글씨에 황홀해질 것이니, 허목이 아니면 누가 다시 이 글과 글씨를 썼겠는가.” 하고 감탄하였다 한다.

평수토찬비는 척주동해비와 같은 내력을 지닌 비석으로 규모 · 양식은 같다. 동해의 거친 파도가 삼척부내에까지 밀려드는 경우가 있어, 허목이 중국 우제(禹帝)의 전자비(篆字碑)에서 48자의 글씨를 모아 새긴 비석이다.

당초 세운 비석은 유실되고 다시 세운 비석으로, 전면에는 해서(楷書)로 ‘大韓平水土贊碑(대한평수토찬비)’라 새기고 측면에는 고종 41년(1904) 비석을 옮겨 세운다는 기록이 있으며 뒤에는 전서로 된 48자의 비문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