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가 ()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1책. 필사본. 이 책의 끝부분에 ‘辛亥正月二十九日謄書于櫍洞(신해정월이십구일등서우질동)’이라는 필사기가 있다. 이 책은 가창(歌唱)보다는 주로 읊어 나갈 수 있도록 네 토막 한 행의 전형적인 가사양식으로 관상에 대한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내용

"천지만물 생긴 후의 오직사람 최귀하다."로 시작하는 이 책의 내용은 얼굴 각 부분의 생김새·외형·골상, 나아가 걸음걸이·말하는 태도, 심지어는 잠자는 모습·밥먹는 모습의 갖가지 유형을 들면서, 인간의 길흉·화복과 미래의 귀천을 예언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가사문학이 이렇듯 문학적인 소재라는 좁은 틀을 벗어나 광범위한 작자층과 다양한 소재를 다룰 수 있게 되는 것은, 대체로 조선 후기의 새로운 동향으로 볼 수 있다.

가사와 더불어 오랫동안 국문시가(國文詩歌)의 양대 기본갈래였던 시조가 새로운 시대상황에 적응하지 못하고 쇠퇴한 반면, 가사는 노래하는 가사에서 읊는 가사로 탈바꿈함으로써, 이 책에서처럼 관상과 같은 이색적인 소재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전통적인 관상술(觀相術)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의 가사문학의 변화양상을 이해하는 데도 유용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