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이암 부도 ( )

목차
관련 정보
상이암 부도
상이암 부도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성수면 상이암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의 사리를 봉안한 사리탑, 부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상이암부도(上耳庵浮屠)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5년 06월 20일 지정)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성수산길 658 (성수면, 상이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성수면 상이암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의 사리를 봉안한 사리탑, 부도.
내용

전체 높이 184㎝, 기단부 높이 46㎝, 탑신 지름 42㎝, 탑신 높이 42㎝. 1995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상이암은 성수산(聖壽山)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때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여 처음에는 도선암이라 하였다고 하며, 조선태조 이성계가 이곳에 와서 치성을 드렸는데, 위에서 후에 왕이 되리라는 소리가 들렸다고 하여 상이암이라 개칭하였다고 한다.

지대석은 약간 다듬은 장방형의 큰 편평석이다. 기단부는 1석이며 하대석은 4각형인데, 상면에 연화문이 시문되어 있다. 중대석은 8각형이며 아무런 문양이 없고 상대석은 원형이며 복련(伏蓮)이 양각되어 있다.

탑신은 원통형인데 특이하게 상단과 하단에 돌대를 돌리고 그 안에 당초문을 양각하였다. 옥개석은 4각형이며 조선시대 무덤 앞에 있는 석등의 옥개석과 같은 형식이다. 상륜부(높이 65㎝)는 노반부터 보주까지 완형으로 남아 있다.

중간에 큼직한 보륜이 있으며 상단 네면에 거북이가 양각으로 조각되어 있다. 조선시대 부도에는 주로 기단부 중대석에 동물조각이 있는데, 이처럼 상륜부에 있는 예는 드물다. 이 부도의 탑신에는 아무런 명문이 없어 부도의 주인공은 알 수 없다.

조성시기는 전체적인 조각기법으로 보아 조선중기 이후로 추정된다. 그리고 상이암의 입구 좌측에는 ‘慧月堂(혜월당)’이란 당호가 음각되어 있는 부도(높이 187㎝)와 ‘杜谷堂(두곡당)’이란 당호가 음각되어 있는 부도(높이 123㎝)가 있는데, 이 부도들은 모두 조선후기의 부도로 추정되며 1986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