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차림 (차림)

목차
관련 정보
칠첩반상
칠첩반상
식생활
개념
일상식이나 의례식을 차릴 때 통용되는 상차례의 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상식이나 의례식을 차릴 때 통용되는 상차례의 격식.
내용

우리 나라 상차림의 격식은 식생활의 발달 및 변천의 과정에서 각 시대의 윤리관이나 생활문화의 영향으로 몇 번의 변용을 거쳐 형성되었다.

현존하는 양식은 효(孝)와 충(忠)을 기본도덕관으로 한 조선시대 때 가부장적 제도를 엄수하면서 정착된 양식이다. 상차림에는 반상·장국상·주안상·잔칫상·큰상·다담상·돌상·제례상 등이 있는데 각 상차림은 다음과 같다.

(1) 반상

: 일상식의 상차림으로서 밥을 주식으로 하고 밥을 먹기에 알맞은 음식을 반찬으로 차린다. 쟁첩에 담는 반찬의 수에 따라 3∼12첩으로 다양하다. 특히, 왕과 왕비의 반상은 수라상이라 하고 12첩반상으로 차린다. 반상차림은 쌀·보리를 주곡으로 하는 농경생활에서 다량 비축할 수 있는 식품을 상용식품으로 하여 형성된 것이다.

(2) 장국상

: 국수장국과 몇 가지의 간단한 음식으로 차린 상이다. 평소의 점심 식사나 점심 때에 간단한 손님접대으로 쓰인다. 과거에는 밀의 소출이 적었으므로 장국상은 별미음식차림이었다 할 수 있다.

(3) 주안상

: 술과 간단한 안주만으로 차린 상으로 술만을 간소하게 대접할 때 쓰인다. 술은 청주·탁주·향양주 등을 썼고, 안주는 전·냉채·전골·마른안주 등을 기본으로 한다.

(4) 큰상

: 과일·과정류·건과류·떡을 위시한 각종 특별음식을 15∼20여 가지 갖추어 각기 20∼50㎝로 높이 괴어 담고 줄을 지어 배열한다. 양옆에는 상화(床花)를 놓아 장식하고 주빈 앞에는 장국상을 차린다. 격조 높고 화려한 상차림으로 혼례·회갑례·회혼례 등의 잔치에 차리는 특별상차림이다.

(5) 교자상

: 평소에 먹는 음식과는 다른 특별음식과 떡·과일·과정류·음청류 등을 교자상에 차린 것이다. 교자상차림에서 술과 안주를 위주로 차린 것은 건교자상이라 하고 밥과 국을 위주로 차린 것은 식교자상, 건교자와 식교자를 혼합한 형태는 얼교자상이라 구분한다.

(6) 다담상

: 차와 과일·과정류만으로 간소하게 차린 상차림이다. 평소의 간식이나 식사 때 이외의 빈객용으로 차린다.

(7) 입맷상

: 간소하게 차린 장국상이다. 정규 잔칫상을 대접하기에 앞서 우선 대접할 때 차린다.

(8) 돌상

: 아기의 첫돌을 축하하는 상차림이다. 수·복을 기원하고 제액을 바라는 마음에서 차린다.

(9) 제례상

: 기제사에는 과일·과정류·건과류 및 각종 음식을 20∼30㎝로 괴어 올리고 여기에다 밥과 국을 놓는 상차림을 한다. 정월·한식·추석 등의 절사에는 그 계절의 절식과 포·혜·주·과로 차린 상차림을 한다.

위의 여러 상차림의 대부분은 각상차림을 원칙으로 하였다. 이 중에서 반상차림만은 밥과 반찬의 주·부식 개념이 강하고 나머지는 주·부식의 개념이 약하다. 이와 같이, 우리 상차림의 음식구조는 상용차림과 특별차림의 기본이 다른 것이었다.

대부분의 상차림은 좌식 차림이다 그러나 제례상차림만은 높은 제상에 제기를 진설하여 입식차림으로 하였다. 이것은 고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입식생활을 하였던 우리의 생활양식이 그대로 계승된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식품사연구』(윤서석, 신광출판사, 1974)
「식생활의 전통양식」(윤서석, 『전통적생활양식의 연구』 中,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