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연활자본. 1918년에 후손 종억(鍾億)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허태섭(許泰燮)의 서문과 권말에 장낙룡(張洛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79수, 잡저 5편, 권2는 부록으로 행장·장발(狀跋)·묘표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자신의 생활을 읊은 것, 변방에서 생긴 일이나 견문한 것, 국가에 대한 충성을 읊은 것이 많다. 또한, 서원이나 명승지를 찾아가 읊은 것이 있고, 이이찬(李爾粲)·최창대(崔昌大)·김자익(金子益) 등의 시에 차운하였으며, 왕유(王維)·맹호연(孟浩然) 등의 시에 화운(和韻)하였다. 또한,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도연명(陶淵明)·두보(杜甫)·이백(李白) 등의 시를 본떠 지은 것이 여러 편 있다.
잡저에는 중국 하(夏)나라 우(禹)임금의 일을 인용하여 술을 마시지 말도록 경계한 글, 길주의 향교에 사현(四賢)을 배향한 일 및 그들의 행적과 향교에 관계되는 사항을 기록한 『길주학궁집람(吉州學宮輯覽)』에 쓴 발문, 증조부 덕운(德雲)이 정묘호란 때 관서지방에 출정하여 당시 상황을 기록한 『서정일기(西征日記)』에 쓴 발문,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韓信)과 연왕(燕王)에 얽힌 사건을 나름대로 해석하여 지은 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