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담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무신, 유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무신, 유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석인본. 1936년에 후손 석우(錫祐)가 편집, 간행하고, 이것을 대본으로 하여 1969년에 후손 기정(冀貞)이 재간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기정의 발문이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등에 있다.

권1은 시 102수, 권2·3은 소(疏)·서(書) 2편, 부록으로 연기(年記)·만장(輓章)·유사·행장·시장(諡狀)·신도비명·가장(家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끝에는 아들 충걸(忠傑)의 『금사실기(錦沙實記)』가 합록되어 있다.

시에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의 부장(副將)으로서 왜적과 싸운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의 참담한 실상과 그 비통한 감회를 읊은 진중시(陣中詩)가 많다. 「문한음이상공부음(聞漢陰李相公訃音)」·「송별보령수김사효(送別保寧倅金士孝)」 등은 당시 인물들에 대한 평가 또는 저자의 교우관계 등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이밖에도 동지들과 창화(唱和) 또는 차운(次韻)한 시가 많다.

칠언체의 「차삼십운환기자경(次三十韻還奇子敬)」은 구성(龜城)에 있을 때 지은 것으로 장편의 역작이다. 한편, 「제화병팔수(題畫屛八首)」·「영화(詠畫)」·「제화(題畫)」 등 그림을 소재로 하여 예술적 감각을 섬세하게 부각시킨 작품들이 있다.

소(疏) 2편은 1598년(선조 31) 경상좌수사(慶尙左水使)를 사직하면서 올린 상소와 1602년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에 임명되었을 때 올린 사직소인데, 특히 「사통제사소(辭統制使疏)」에는 이순신과 원균(元均)의 일에 대하여 자신의 입장과 소신을 밝힌 내용이 있어서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서(書)는 아들 충걸(忠傑)에게 보낸 서찰 2편뿐으로, 안부를 전하는 내용이다. 부록의 신도비명은 김상용(金尙容)이 찬한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