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분권 1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편년을 알 수 없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책1∼7에 시 1,030수, 책8·9에 기(記) 5편, 서(序) 5편, 서(書) 7편, 제문 15편, 책10에 금강일기(金剛日記), 책11에 화사평림(花史評林)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영물시(詠物詩)·수창시(酬唱詩)·만사(挽詞)가 대부분인데, 꾸밈에 힘쓰지 않고 뜻을 창달하는 데 있어 충담(冲澹)한 맛이 있으며, 또 시어가 아주 평이하다.
서(書)에는 이항로(李恒老)와 논한 「역여태극도동이(易與太極圖同異)」·「태극도오행생서행서(太極圖五行生序行序)」·「홍범구주상승득수도(洪範九疇相乘得數圖)」·「세차법(歲差法)」 등이 있다.
기에는 천문(天文)에 관한 「혼천도기(渾天圖記)」가 있다. 「금강일기」는 1879년 윤3월 16일부터 4월 17일까지 서응순(徐應淳)·김종구(金宗耉) 등과 금강산을 유람한 일기이다.
「화사평림」은 화훼(花卉)에 대한 평전으로, 화왕본기(花王本紀)·죽군세가(竹君世家)·매비강도열전(梅妃絳桃列傳)·경란열전(耿蘭列傳)·황향열전(黃香列傳)·당공열전(棠公列傳)·이화열전(李華列傳)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