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석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선석유고
선석유고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신계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신계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권 1책. 석인본. 1959년 후손 익교(益敎)에 의하여 간행된 듯하다. 권두에 정인서(鄭寅書)의 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사(辭) 1편, 시 432수, 부(賦) 8편, 전(箋) 3편, 찬(贊) 1편, 제문 2편, 부록으로 행장·어제문(御祭文)·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권말에 『취성세고(鷲城世稿)』에 수록된 그의 작품을 뽑아 실었다.

사인 「속귀거래사(續歸去來辭)」는 도잠(陶潛)의 「귀거래사」를 모방하여 지은 것이다. 시는 1624년(인조 2) 종사관(從事官)으로서 일본에 가서 지은 시와 1637년 속환사(贖還使)로 청나라 심양(瀋陽)에 가면서 지은 시, 그리고 수창시(酬唱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주길탄(住吉灘)」·「대마도(對馬島)」·「안덕사(安德祠)」·「대판야음(大阪夜吟)」 등 일본에서 지은 작품에는 그곳 풍물이 잘 묘사되어 있다.

『취성세고』에 수록된 그의 국문학 작품, 즉 「월선헌십육경가(月先軒十六景歌)」·「전원사시가(田園四時歌)」·「제석유감(除夕有感)」·「연군가(戀君歌)」·「탄로가(歎老歌)」 등 5편은 모두 17세기 국문학 연구 자료로 가치가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