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언심록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윤기하가 중국과 우리나라 명현들의 행적을 들어 수신의 요법을 설명한 언행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윤기하가 중국과 우리나라 명현들의 행적을 들어 수신의 요법을 설명한 언행록.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연기는 미상이다. 권두에 편자의 자서가 있으나 연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앞의 「서론」에 이어 상편에 「언행록」, 중편에 「충절록」, 하편에 「효행록」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끝에 시가체의 글인 「훈몽서(訓蒙書)」가 부록되었다.

「서론」에서는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에 관해 언급하고 있는데, 심(心)·성(性)·정(情)을 설명함에 있어 심위주재설(心爲主宰說)을 근거하고 있다.

상편의 「언행록」은 중국의 요(堯)·순(舜)·우(禹)·탕(湯)으로부터 송(宋)나라 및 우리나라 역대 선현들의 언행과 사적을 소개하고, 이어 격물치지(格物致知)·존심양성(存心養性)·위기위인(爲己爲人)·안인이행(安仁利行) 등의 제목을 달아 수신의 요법을 설명하였다.

「충절록」과 「효행록」도 선현들의 사적을 들어 당위성을 강조한 내용이다. 끝의 「훈몽서」는 4언체(四言體)로 된 운문으로 62장의 장편인데, 사람들을 효유하는 내용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