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경본풀이 (풀이)

구비문학
작품
제주도 굿에서 풍농을 관장하는 신격인 세경의 내력을 풀이할 때 부르는 서사무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세경본풀이」는 제주도 굿에서 풍농을 관장하는 신격인 세경의 내력을 풀이할 때 부르는 서사무가이다. 다양한 계열의 서사적 원천을 활용한, 길고 풍부한 서사를 갖추고 있는 장편 무속 서사시이기도 하다. 인간 소녀 자청비가 온갖 시련을 이겨내고 천상 세계의 문 도령과 혼인하기에 이르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지상에 내려와 농경의 풍요를 담당하는 신격으로 좌정한다는 내용이다. 풍농의 신화적인 원리, 주체적 여성 문화 영웅의 전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정의
제주도 굿에서 풍농을 관장하는 신격인 세경의 내력을 풀이할 때 부르는 서사무가.
전승

농경의 풍요를 기원할 때 구송하는 본풀이이다. 「잠수굿」 등에서 바다의 풍요를 기원할 때에는 「요왕세경본풀이」로 구연되기도 한다.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 하는 제차를 가리키는 이름이기도 하다.

내용

김진국과 조진국 부부가 혼인 후 30년이 넘도록 자식이 없다가 불공을 올려 딸을 얻었다. '자청(自請)하여 낳은 아이'여서 '자청비'라 이름지었다. 귀하게 자라던 자청비는 어느 날 하녀를 따라 빨래터에 나갔다가 공부하러 길을 나선 천상국의 문 도령을 만나게 되고, 남장을 하여 문 도령과 동행한다. 함께 글공부하던 중에 문 도령이 혼인을 위해 집으로 돌아가게 되자 자청비도 함께 길을 나서고, 처음 만났던 빨래터에서 자청비는 문 도령에게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서로의 사랑을 확인한 후, 문 도령은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하고 홀로 떠난다. 시간이 흘러도 문 도령은 돌아올 줄 모르고, 문 도령을 기다리던 자청비는 머슴인 정수남의 꼬임에 빠져 문 도령을 찾아 숲 속에 들어갔다가 정수남에게 겁탈을 당할 위기에 처한다. 자청비는 기지를 발휘하여 정수남을 죽이고 홀로 집으로 돌아오지만, 머슴을 살려내라는 부모의 호통에 오히려 집에 발을 붙이지 못하게 되고 만다. 남장을 하고 서천 꽃밭에 간 자청비는 서천 꽃밭의 문제를 해결하여 꽃 감관의 사위가 되고, 이후 환생꽃을 손에 넣고 돌아와 정수남을 살려낸다. 그러나 이 일을 빌미로 자청비는 또 집에서 쫓겨나고 마는데, 천신만고 끝에 천상에 올라가 문 도령의 부모를 만나고 어려운 시험들을 통과한 다음 마침내 문 도령과 부부의 연을 맺는다. 한편 자청비는 자신과 부부의 연을 맺었던 서천 꽃밭 꽃 감관의 딸에게 남편 문 도령을 보낸다. 한 달에 보름만 살고 나머지 보름은 자신과 함께 지내기로 했으나, 문 도령은 돌아올 줄 모른다. 자청비는 옥황 문선왕에게 사정을 아뢰고 지상으로 돌아온다. 자청비는 천상의 오곡과 메밀 씨앗을 가지고 돌아와 지상의 풍농을 관장하는 신, 즉 세경이 되고, 다시 만난 정수남에게는 마불림제를 받는 목축의 신 자리를 마련해 준다.

특징

자청비를 주인공으로 하는 신화인 동시에, 자청비와 함께 세경으로 자리잡은 문 도령과 정수남의 내력담이기도 하다. 천상 존재 문 도령, 인간 자청비, 목동 정수남의 관계를 통해 풍농 실현의 원리와 규범을 풀어낸 신화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본풀이의 길이가 무척 길고 내용이 풍부하여 제주도 무가의 문학적 가치를 보여주는 장편 무속 서사시로 평가된다. 함흥 지역의 「문굿무가」, 중국의 「축영대 설화」 등과 줄거리가 유사하지만, 서사적으로 제주 「당본풀이」의 영향이 확인되는바, 제주도 본풀이가 다양한 계열의 서사를 활용하여 형성된 것임을 보여 준다. 여성 문화 영웅으로서의 자청비의 적극성, 능동성, 주체성은 신화 전승 집단인 제주의 여성상이 투영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각, 2007)

단행본

강정식, 『제주굿 이해의 길잡이』(민속원, 2015)

논문

권태효, 「제주도 무속서사시 생성원천에 대한 새로운 고찰: 〈세경본풀이〉에 미친 〈송당계본풀이〉의 영향을 중심으로」(『한국민속학』 31, 한국민속학회, 1999)
정진희, 「풍농의 원리: <세경본풀이> 서사의 신화적 의미」(『국문학연구』 28, 국문학회,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