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간본은 이른바 청어총해(淸語總解) 4종 20권 가운데 하나로 ≪삼역총해 三譯總解≫·≪청어노걸대 淸語老乞大≫·≪팔세아 八歲兒≫ 등과 함께 1703년(숙종 29)에 개간(開刊)되었다. ≪소아론≫은 ≪팔세아≫와 함께 그 뒤 1777년(정조 1)에 검찰관 김진하(金振夏)와 서사관(書寫官) 장재성(張再成)에 의하여 사역원(司譯院)에서 다시 고쳐진 후 간행되었다.
오늘날에는 이 중간본만 전하는데, 이를 ≪통문관지≫ 등에서는 신석소아론(新釋小兒論, 목판본 1책)이라 하고 있다. 말미에 이담(李湛)의 ≪팔세아≫와 ≪소아론≫ 2책의 출간에 부친 후지(後識)가 있다. ≪소아론≫ 초간본이 간행된 경위는 ≪삼역총해≫ 등의 간행경위와 같다. ≪소아론≫과 ≪팔세아≫는 여진문자로 된 여진학 교재로 전부터 사용되었던 것이라는 점만 다르다.
≪통문관지≫ 권1 관제(官制)를 보면 1667년(현종 8)에 여진학이 청학으로 이름이 바뀌는데(康熙丁未女眞學改稱淸學), 이는 공식적인 개명이고 만주자를 사용하는 실질적인 청학은 1630년대에 비로소 시작한다. 우리나라 여진학에서 다룬 여진어와 만주어가 반드시 동일한 방언의 계승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나, 대체로 같은 언어의 계승이라 볼 수 있다. 1703년에 개간된 ≪소아론≫이 들어 있는 이른바 ≪청어총해≫ 20책은 ≪통문관지≫ 권8 집물(什物)의 기록에 따라 활자본으로 알려져 있으나, 삼역총해서를 보면 이들은 목판본이었음이 분명하다.
이 책은 현재 규장각도서에 2책, 대영도서관(The British Library)과 고마자와대학도서관(駒澤大學圖書館), 아라아시문고(濯足文庫)에 각각 1책이 보존되어 있고, ≪재불한국관계문헌목록≫에도 ≪소아론≫ 1책이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도서 가운데 한 책이 영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