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화중 ()

근대사
인물
개항기 삼례지방의 교조신원운동과 관련된 천도교인.
이칭
화중(華仲), 화중(和中)
이칭
화중(化中), 손정식(孫正植)
초산(楚山)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1년(철종 12)
사망 연도
1895년(고종 32)
본관
밀양(密陽)
출생지
전라북도 정읍
관련 사건
교조신원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삼례지방의 교조신원운동과 관련된 천도교인.
개설

본관은 밀양(密陽). 이름은 손정식(孫正植), 자는 화중(華仲 · 和中 · 化中), 호는 초산(楚山).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출생. 손호열(孫浩烈)의 아들로, 어머니는 평강 채씨(平康蔡氏)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1년(고종 18)에 처남 유용수(柳龍洙)를 따라 지리산 청학동에 갔다가 동학에 입도(入道)하여 수도하다가, 1883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포교하였다. 정읍군내 농소리(農所里) · 입암리(笠巖里) · 신면리(神綿里) · 음성리(陰城里)를 전전하다가, 전북 무장(茂長)에 가서 김모(金某)의 집에 포교소를 설치하였다.

언제 접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1892년 전북 삼례의 교조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에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였다. 1893년에는 광화문 복합상소 때 호남 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가했으며, 충북 보은 장내리(帳內里) 집회에서도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는 뛰어난 지도력을 발휘하였다.

1894년 동학군의 전주화약 후에는 전남 나주 지방으로 가서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지도하였다. 그리고 제2차 동학혁명운동이 일어나던 10월 일본군의 배후상륙에 대비, 최경선(崔景善)과 같이 나주 부근에 주둔하였다. 전봉준(全琫準)이 공주를 공략하다가 실패한뒤, 나주성을 공격했으나 지형관계로 실패하고 말았다.

그 해 12월 일단 광주로 후퇴, 입성하였다가 전북 흥덕(興德)에 있는 이모(李某)의 재실(齋室)에 숨어 있었으나, 1895년 1월 6일 재실지기 이봉우(李鳳宇)의 고발로 체포되었다. 전주감영으로 압송되었다가 서울로 이송, 여러 차례의 심문 끝에 전봉준 · 김덕명(金德明) · 최경선 · 성두환(成斗煥)과 함께 최후를 마쳤다.

참고문헌

『동학혁명과 민중』(이현희, 대광서림, 1985)
『동학농민봉기』(한우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6)
『녹두장군 전봉준』(김의환·최동희·김룡덕, 동학출판사, 1973)
『동학과 동학란』(김상기, 대성출판사, 1947)
『정읍군지(井邑郡誌)』(활자본)
『동학사』(오지영, 영창서관, 1940)
『천도교창건사』(이돈화 편, 천도교중앙종리원, 1933)
집필자
김용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