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사 보조국사비 (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고려후기에 건립된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의 탑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송광사보조국사비(松廣寺普照國師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2년 10월 15일 지정)
소재지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신평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고려후기에 건립된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의 탑비.
내용

전체 높이 394㎝, 비신 높이 253㎝ · 너비 120㎝. 198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비는 귀부(龜趺) · 비신(碑身) · 이수(螭首)를 갖춘 전형석인 비석 형태이다. 귀부는 대좌가 땅에 묻혀 보이지 않고 귀갑(龜甲) 윗면만 노출되어 있다.

귀두(龜頭)는 용두(龍頭)처럼 변하여 정면을 응시하고 있으며, 두 눈은 튀어나와 있다. 다문 입에는 여의주가 없으며 귀두 뒤쪽에 특이하게 두 귀가 솟아나 있다. 목은 짧으며 앞에 비늘이 양각되어 있고, 등에는 귀갑문이 육각으로 시문되어 있으나 형식화된 느낌이 많다.

귀부 중앙에는 장방형의 비좌를 설치하여 비신을 받고 있는데, 판석형의 비신에는 전후 면에 비문이 음각되어 있다. 이수에는 두 마리의 용이 얽혀 있으며 아래쪽에 와문(渦文 : 소용돌이 무늬)이 보인다.

비신 앞면 상단에 전서(篆書)로 ‘普照國師碑銘(보조국사비명)’이라고 제액하였다. 비제는 해서(楷書)로 ‘海東朝鮮國湖南順天府曹溪山松廣寺贈諡佛日普照國師碑銘幷序(해동조선국호남순천부조계산송광사증시불일보조국사비명병서)’라 하였다.

원비는 국사가 열반한 1210년(희종 6)에 고려시대의 문신인 김군수(金君綏)가 비문을 지었고 유신(柳伸)이 써서 보창(寶昌)이 1211년에 새겨 1213년(강종 2)에 세워졌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비가 무너지고 귀부만 남아 현재의 비는 중건된 것이다. 비의 뒷면 비문의 끝에 '崇禎紀元戊辰後五十一年戊午十月日重建沙門雪明(숭정기원무진후51년무오10월일중건사문설명)’이라 하여 이 비를 1678년(숙종 4) 10월에 중건했음을 밝히고 있다. 또 뒷면에는 '비음(碑陰)'을 적고 그 뒤에 이 비를 새로 중건하게 된 배경을 적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하(下)
『문화재도록』 -도지정편-(전라남도, 1992)
『전남금석문』(전라남도, 1990)
『한국금석문대계』(조동원 편, 원광대학교출판부,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