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령 ()

목차
고대사
제도
발해시대의 하급관리 및 지방에 있는 말갈족 마을의 우두머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발해시대의 하급관리 및 지방에 있는 말갈족 마을의 우두머리.
내용

일본인 스가와라(菅原道眞)가 쓴 ≪유취국사 類聚國史≫ 수속부(殊俗部)에 수록된 기사에 의하면, 발해국에선 큰 고을의 장은 도독(都督)·자사(刺史)라 하고, 그 아래의 마을의 우두머리는 백성들이 모두 수령이라 부른다 하였다.

수령은 발해에서 일본에 보낸 사절단의 구성원에 다수가 보인다. 841년의 사절단의 경우, 뱃사공을 제외한 77명 중 62명이 수령이라는 직함을 띠고 있었다. 이들 수령은 주로 발해의 각 지방에 있던 토착 말갈족 마을의 우두머리로서, 중앙에서 파견한 지방관의 통제하에서 자기 마을의 군사 및 행정에 관한 책무를 맡았던 이들로 여겨진다.

이러한 수령제도는 발해국의 지배층은 고구려인인데 피지배층의 다수가 말갈족이라는 그 주민구성상의 특징과, 그리고 그에 따른 지역간의 발전의 불균등성으로 인하여 공동체적 관계가 강하고 어업·수렵의 비중이 높은 것 등의 각 마을마다의 특성을 고려해서 시행된 발해국의 지배체계의 독특한 일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점은 주민구성과 지방지배체계의 이중성이라는 면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渤海國志長編』(金毓黻, 華文書局, 1934)
「발해의 수령에 대하여-지방통치제도와 관련하여-」(김종원, 『전해종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79)
「渤海の首領に關する豫備的考察」(鈴木靖民, 『朝鮮歷史論集』 上,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