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몽헌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예승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예승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후손인 대훈(大塤)에 의하여 편집, 1934년 대전 청농정사(靑農精舍)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용덕(金容悳)·이가순(李家淳)의 서문과 5대손 대희(大僖)의 발문 및 권2에 이현규(李玄圭)의 후서 등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국민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부(賦) 1편, 시 1수, 소(疏) 2편, 훈시(訓示)·기(記)·설(說) 각 1편, 권2는 부록으로 은질연보(恩秩年譜)·가장·묘표·묘지·묘갈명·행장 각 1편, 후서 1편, 시 4수, 건원사실(建院事實)·춘추상향축문(春秋常享祝文)·봉안문·상량문·이건상량문·환안문(還安文)·문과방목·수려사관록(修麗史官錄)·세계원류(世系源流)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는 그가 사간원대사간에 재직 당시 정치의 부패와 시국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한 책략을 상소한 것이다. 훈시에는 그가 이산현감으로 있을 때 현민의 기강을 진작시키기 위하여 내린 「이산현훈이민서(尼山縣訓吏民書)」가 있다.

부록의 「건원사실」은 그를 봉향하기 위한 청백당(淸白堂)의 약사(略事)를 기록한 것이다. 「수려사관록」은 저자가 춘추관수찬관으로 있으면서 고려사 편찬에 참여한 사실을 적은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