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성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성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25년 경상북도 청송에서 이의화(李義和)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상익(權相翊)의 서문, 권말에 족제(族弟) 중철(中轍), 권수승(權秀升)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등에 있다.

권1에 시 81수, 권2·3에 전책(殿策) 1편, 서(書) 73편, 잡저 9편, 기(記) 4편, 지발(識跋) 1편, 설(說) 1편, 잠(箴) 2편, 권4에 제문 8편, 고유문 1편, 애사 2편, 묘표 1편, 행장 1편, 유사 3편, 부록으로 유사·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정재선생만(定齋先生輓)」 등 만시가 대부분이고, 「자경(自警)」·「만음(謾吟)」 등 감회와 서정을 나타내는 시가 있으나, 그 저변에는 병고로 인한 괴로움과 인생에 대한 허무감이 깔려 있다.

전책은 당시 전부(田賦)·군적(軍籍)·환곡(還穀) 등에 관한 시폐(時弊)를 열거하고 그 대책을 밝힌 것이다.

서의 「상정재선생(上定齋先生)」의 문목(問目) 및 별지(別紙)에는 『대학』 성의장(誠意章)과 제례·상례 등에 관해 문의한 내용이 있다. 김대진(金岱鎭)에게 보낸 서에는 『중용』의 귀신(鬼神)·소목(昭穆) 등에 관해 질문한 문목이 있다.

잡저 가운데 「독갈암집관규록서애심무출입설변(讀葛庵集管窺錄西厓心無出入說辨)」은 유성룡(柳成龍)의 「심무출입설(心無出入說)」에 관한 이현일(李玄逸)의 변(辨)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것이다.

「독심경강록간보(讀心經講錄刊補)」는 이상정(李象靖)의 『심경강록간보(心經講錄刊補)』 중 특히 「용신용근(庸愼庸謹)」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설명한 것이다. 「독대산집잡저중용대학의의변(讀大山集雜著中庸大學疑義辨)」 역시 이상정의 잡저인 「중용대학의의(中庸大學疑義)」를 논변한 내용이다.

이 책 이외에 그의 편서로 『학기구해참고(學記句解參攷)』가 있는데 이는 그의 스승인 유치명(柳致明)의 『학기장구(學記章句)』와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를 참고 자료로 하여 엮은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