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옹일기 ()

목차
관련 정보
수옹일기
수옹일기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송갑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송갑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활자본. 1800년(정조 24) 5대손 구상(龜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익(金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구상·환기(煥箕)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 있다.

권1에 일기와 시 1수, 서(書) 6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 9수, 제문 4편, 고문(告文)·상량문·축문·유사·행장·묘갈명·비음기(碑陰記)·묘지명·신도비명·시장(諡狀)·소(疏)·계(啓)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일기는 1624년(인조 2)부터 1628년까지 약 5년간에 쓴 것이다. 저자가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로 왕을 호종하고, 그 뒤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을 거쳐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로 승진, 상경하던 도중 정묘호란이 일어나 남하하는 세자를 만나 완산으로 따라간 일 등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또한, 김상헌(金尙憲)·홍익한(洪翼漢) 등 척화파, 최명길(崔鳴吉) 등 강화파, 권진(權縉) 등 무장, 김장생(金長生)·장현광(張顯光) 등 학자에 대한 세평(世評)이나 인물됨을 기록한 내용이 있어 관심을 끈다. 시 「화이자수(和李子修)」는 친구간의 깊은 우정을 표현한 것이다.

서(書)의 「기묵렬등서(寄默烈等書)」는 정묘호란 때 아들 시묵(時默)과 시열(時烈)에게 보낸 것으로, 국사(國事)를 위해 바치는 몸이므로 사사로이 가족을 돌볼 수 없는 입장을 말하고, 가족 모두 속리산으로 피신하여 노모를 잘 봉양할 것을 당부하였다. 「여이사로서(與李師魯書)」 역시 정묘호란중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며 친지에게 보낸 서찰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