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수재문집
수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유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유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판본. 1908년 조태문(趙泰文)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진호(金鎭祜)의 서문과 권말에 곽종석(郭鍾錫)·조정규(趙貞奎)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1편, 시 115수, 권2∼4에 서(書) 39편, 서(序) 2편, 기(記) 6편, 설(說) 3편, 변(辨) 1편, 잠(箴) 1편, 명(銘) 2편, 전(傳) 1편, 제문 1편, 행장 1편, 유사 1편, 권5는 부록으로 언행록·행장·묘갈명이 있다.

서(書)는 주로 친지와 사우간에 보낸 것이 많으며, 문목 중에는 사서와 『근사록(近思錄)』·『심경(心經)』 등에 대하여 질의응답한 것이 있으며, 성리에 대한 것도 있다.

「신심경중변(身心輕重辨)」은 마음과 몸의 경중을 논한 것으로, 몸은 마음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며 마음은 몸을 부리는 것이므로 몸보다 마음이 더 중하다고 설명하면서 마음을 잘 견제하면 몸이 잘 다스려진다고 설명한 글이다.

「주역상하경반대각위십팔괘도설(周易上下經反對各爲十八卦圖說)」은 64괘를 『주역』의 원전에 의하여 풀이하고, 그 가운데 18괘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음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시하고 그 까닭을 설명한 글로, 선현들의 이론을 광범위하게 인용하고 있어 『주역』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