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1책. 필사본. 현손 진태(震泰)가 필사, 편집하였고, 뒤에 8세손 이현(彛鉉)이 보충하였다. 권두에는 저자의 약력을 소개한 「사실(事實)」이 있고, 권말에 변시연(邊時淵)의 발문이 있다.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에 소장되어 있다.
시 130여수, 제문·잡저·책(策) 각 1편,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자신의 포부와 시대적 현실의 괴리에서 비롯되는 소외감을 표현한 「탄세(歎世)」 2수와 강촌의 풍경을 소재로 지은 「강촌우중작(江村雨中作)」·「강촌즉경(江村卽景)」·「한강관창(漢江觀漲)」 등이 있다.
그리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지은 「난후분음(亂後憤吟)」·「병자란후영회오백자근차박눌재선생화증석헌선조운(丙子亂後詠懷五百字謹次朴訥齋先生和贈石軒先祖韻)」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오이규(吳以奎)·유동숙(柳東淑) 등 주변인물을 대상으로 차운(次韻)·증여(贈與)·전송·애도 등의 목적으로 지은 시들이 실려 있다.
잡저 「주필희제파사(走筆戱題破笥)」는 폐품을 활용하는 아내의 이야기를 암시적 기법으로 서술한 글이다. 「책문(策文)」은 저자가 1653년(효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을 때 지은 것인데, 위정자의 인격수양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부록에는 저자와 함께 급제한 갑과 1인, 을과 3인, 병과 11인에 대한 방목(榜目)을 비롯하여 만장(輓章)·제문·묘지 등이 실려 있다. 이밖에 여성제(呂聖齊)가 지은 「송유통판부임완산서(送柳通判赴任完山序)」, 정홍명(鄭弘溟)이 쓴 「유촌외가구업중구상량문(維村外家舊業重搆上樑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