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22개 역도(驛道) 중의 하나로서 전라도 나주목(羅州牧) 관내 30개의 역을 관할하는 역로망이다. 승주와 나주의 고을 명칭을 붙여 만든 역도 명칭이다. 전라도 동쪽 끝의 승평군 방면으로 역로망이 이르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나주도(羅州道)라 해도 별 손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역도 명칭을 ‘승라주도’로 정한 것이 특징적이다. 관할 영역 안에 해륙교통운송 거점인 해룡창(海龍倉, 승주) · 장흥창(長興倉, 영암) · 해릉창(海陵倉, 나주) · 부용창(芙蓉倉, 영광)과 ‘명량항(鳴梁項)’이 위치하여 활용도가 높았다.
『고려사』 권82 병지2 참역(站驛)에, “승라주도(昇羅州道)는 30개의 역을 관할하는데, 청엄(靑嚴)[전라남도 나주시], 선엄(仙嚴) · 경양(敬陽)[광주(光州, 광주광역시)], 덕기(德奇)[담양(潭陽, 전라남도 담양군)], 경신(慶新) · 청연(淸淵) · 용계(龍溪)[무안(務安, 전라남도 무안군)], 광리(廣里)[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 인물(仁物)[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군)], 영신(永新)[진원(珍原, 전라남도 장성군)], 오림(烏林)[철야(鐵冶, 전라남도 나주시)], 가림(嘉林)[화순(和順, 전라남도 화순군)], 녹사(綠沙)[영광(靈光, 전라남도 영광군)], 단엄(丹嚴)[장성(長成, 전라남도 장성군)], 청송(靑松)[무송(茂松,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가풍(街豐)[함풍(咸豐, 전라남도 함평군)], 덕수(德樹)[모평(牟平, 전라남도 함평군)], 영보(永保)[영암(靈嵓, 전라남도 영암군)], 통곡(通谷)[도강(道康, 전라남도 강진군)], 녹산(淥山)[해남(海南, 전라남도 해남군)], 벽산(碧山)[수녕(遂寧, 전라남도 장흥군)], 별진(別珍)[죽산(竹山, 전라남도 해남군)], 남리(南里)[황원(黃原, 전라남도 해남군)], 군지(軍知)[복성(福成, 전라남도 보성군)], 가신(嘉新)[보성(寶城, 전라남도 보성군)], 파청(波淸)[조양(兆陽, 전라남도 보성군)], 낙신(樂新)[낙안(樂安, 전라남도 순천시)], 익신(益新) · 섬거(蟾居)[광양(光陽, 전라남도 광양시)], 율양(栗陽)[승주(昇州, 전라남도 순천시)]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시대 역도 명칭에 고을 명칭이 붙는 경우의 대부분은 상주도(尙州道) · 명주도(溟洲道)와 같이 주요한 고을 명칭 한 개만을 붙이고, 역도의 분포망 또한 해당 고을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하지만 이와 달리 고을 명칭 두 개가 결합한 역도 명칭은 3개가 확인되는데, 그 중 하나가 승라주도이다. 승라주도는 승주와 나주의 고을 명칭을 붙여 만든 역도 명칭이다.
물론 승평군(昇平郡)도 계수관인 나주목 관내의 주군(主郡) 중 한 곳이지만, 승라주도에 승평군 관내의 역이 3개만이 분포하는 것을 보면 승라주도에서 승평군의 역 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따라서 역도 명칭을 승라주도라 한 이유는 전라도 동쪽 끝의 승평군 방면으로 역로망이 이르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승라주도는 우선적으로 나주를 중심에 두고 인근의 해양현(海陽縣=光州) · 영광군 · 능성현 방면으로 향하였다. 이 중 북쪽의 단엄역이나 청송역에서는 전공주도(全公州道)의 역로망과, 덕기역에서는 남원도(南原道)의 역로망과 각각 접속하여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방면으로 연결되었다. 이외의 주요 역로망으로 나주에서 영암 · 해남 · 강진 방면으로 향하는 역로망과 나주 동쪽 방면의 능성현에서 보성 · 순천 방면으로 향하는 역로망 그리고 이들 두 방면의 역 시설을 잇는 역로망 등이 있다. 승라주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한 율양역에서 남원도의 역로에, 섬거역에서는 섬진강을 건너 산남도(山南道)의 역로에 각각 연결되었다.
고려시대 승라주도는 역의 분포 양상 등을 고려할 때에 나주도(羅州道)라 해도 별 손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역도 명칭을 ‘승라주도’로 정한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승라주도의 관할 영역 안에 해륙교통운송 거점인 조창(漕倉)이 해룡창(海龍倉, 승주) · 장흥창(長興倉, 영암) · 해릉창(海陵倉, 나주) · 부용창(芙蓉倉, 영광) 네 곳이나 분포하면서 연해 항로의 험조처(險阻處)로 ‘명량항(鳴梁項)’이 위치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교통운수활동에서 승라주도의 활용도는 매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