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경산부(京山府, 경상북도 성주군) 인근의 고을을 아우르면서 낙동강을 따라 상주와 대구 방향으로 뻗은 역로망이다.
『고려사』 권82 병지2 참역(站驛)에, “경산부도(京山府道)는 25개의 역을 관할하는데, 안언(安堰)·답계(踏溪)[경산(京山)], 안림(安林)[고령(高令, 경상북도 고령군)], 수향(水鄕)·연정(緣情)[팔거(八莒, 경상북도 칠곡군)], 설화(舌火)[화원(花園, 대구광역시 달성군)], 무기(茂淇)[가리(加利, 경상북도 고령·성주군 일대)], 김천(金泉)[김산(金山, 경상북도 김천시)], 속계(屬溪)[황간(黃閒, 충청북도 영동군)], 장곡(長谷)[지례(知禮, 경상북도 김천시)], 순양(順陽)[양산(陽山, 충청북도 영동군)], 토현(土峴)[이산(利山, 충청북도 옥천군), 이인(利仁)[안읍(安邑, 충청북도 옥천군)], 증약(增若)[관성(管城, 충청북도 옥천군)], 작내(作乃)[지례], 낙양(洛陽)·낙산(洛山)[상주(尙州, 경상북도 상주시)], 회동(會同)[영동(永同, 충청북도 영동군)], 원암(猿岩)·사림(舍林)[보령(報令, 충청북도 보은군)], 추풍(秋風)[어모(御侮, 경상북도 김천시)], 상평(常平)[중모(中牟, 경상북도 상주시)], 안곡(安谷)[선주(善州, 경상북도 구미시)], 장녕(長寧)[화령(化令, 경상북도 상주시)], 부상(扶桑)[개령(開令, 경상북도 김천시)]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역도의 명칭이 고을 명칭인 경산부에서 유래하는 만큼 경산부 관내(管內)의 15개 역을 아우르면서 북쪽으로 상주 관내 10곳의 역을 관할한다. 역도의 주요 방향은 성주를 중심으로 서북쪽 김천-추풍령(秋風嶺)-영동-옥천으로 이어지는 역로, 북쪽 상주 관내로 향하는 역로, 남쪽 고령으로 이르는 역로 그리고 낙동강 건너편의 칠곡·달성군으로 향하는 역로 등이 있다. 이 중 낙동강을 건너 역도가 뻗어있는 점을 통해 낙동강을 통하는 나루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 기록에 성주에는 동안진(東安津)과 무계진(茂溪津)이 확인된다. 이 중 무계진은 고려시대 무기역(茂淇驛, 가리현) 인근에 위치하여 무기진(茂淇津)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다.
경산부도는 대부분의 역 시설이 산간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이서(以西)에 분포하지만, 나루시설을 통해 낙동강을 건너 수향역·녹정역(팔거현)과 설화역(화원현) 등 낙동강 이동(以東) 지역에 도달하였다. 이곳에서는 경주도(慶州道)의 범어역(수성현)이나 장수역(신녕현)을 통해 경주 방면으로 연결되었다.
경산부도는 고려시대 경산부를 중심으로 편성된 역도이다. 오늘날의 행정구역은 추풍령을 경계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로 나뉘어 있지만 고려시대에는 경산부 관내에 충청북도 영동·옥천군이 포함되어 있었기에 경산부도 또한 추풍령 이서의 순양역·토현역·이인역·증약역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낙동강을 건너 역도망이 분포하였기 때문에 나루의 존재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려시대 역도의 분포가 군현제의 주·속현체제에 영향을 받은 점, 육상교통망의 편성에 수운시설도 일정한 역할을 담당한 점을 경산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