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적 ()

목차
불교
개념
불교교단에서 소속 승려의 신분을 기록한 명부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교적 · 종적.
이칭
이칭
교적(敎籍), 종적(宗籍)
목차
정의
불교교단에서 소속 승려의 신분을 기록한 명부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교적 · 종적.
내용

교적(敎籍) 또는 종적(宗籍)이라고도 한다. 각 사찰의 독자적인 승직(僧職)과 국가적인 중앙승관제도(中央僧官制度)가 확립되어 있던 신라시대부터 승적은 정리되었을 것이지만, 그 구체적 기록은 없다.

신라 말 고려 초부터 수계(受戒)는 공식적 관단(官壇)에서 행하여졌고, 각 종파는 독립적인 수계사원을 가지고 있었다. 이 시대에도 수계를 할 때는 승적을 동시에 정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승적은 불교의 제반 사무를 맡고 있던 승록사(僧錄司)에서 관장하였다. 이장용(李藏用)이 약등(若騰)을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으로 임명하여 승적을 맡게 하였다는 것이 『관고(官誥)』에 기록되어 있다. 이는 수계승려를 등록, 정리하는 일을 승록사가 맡고 있었음을 알게 해준다.

고려 후기로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승려의 자격을 인정하는 도첩(度牒)이 발행되었는데, 이때도 승적은 정리되었을 것이다. 1916년 11월에 승적정리에 관한 관통첩(官通牒)이 각 도에 시달되어, 이해 12월 1일부터 승적첩을 정리하도록 규정하였다. 당시 승적은 어떤 승려가 득도식(得度式)을 행한 사찰에서 정리하도록 되어 있었다. 각 말사(末寺)는 승적을 정리하고, 그 등본을 본사에 제출, 본사에서는 사찰별로 보관하였다. 어떤 절의 승려가 다른 사찰로 전적할 때는 원래의 사찰에서는 승적을 말소하고, 옮겨간 절에서 다시 승적을 정리하였다. 승적첩에는 수계·법랍(法臘)·취직(就職) 등 중요사항을 기록하였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고려불교사연구(高麗佛敎史硏究)』(허흥식, 일조각, 1986)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집필자
김상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