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9년(영조 45) 간행되었으며, 권두에 신경준(申景濬)의 서문이 있다.
5권 3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국민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425수, 권3에 비답(批答) 1편, 소(疏) 5편, 권4에 서(書) 15편, 잡저 2편, 서(序) 1편, 기(記) 1편, 발(跋) 2편, 명찬(銘贊) 3편, 전문(箋文)·책문(冊文) 각 1편, 제문 20편, 행장 1편, 권5에 부록으로 행장·묘지 각 1편, 제문 2편, 우곡서원봉안문(愚谷書院奉安文)·상향축문(常享祝文) 각 1편, 만사 2편, 신도비명(神道碑銘)·연보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특히 임진왜란을 겪는 동안 전쟁의 체험을 반영한 작품이 많아 주목을 끈다. 「임진사월회일기사(壬辰四月晦日記事)」는 7언체의 장편시로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의 참담한 심경을 그린 것이다. 「과연안유감(過延安有感)」은 임진왜란 다음 해에 지은 것으로 연안성(延安城)에서의 승리를 찬양한 시이다.
이 밖에 「을사관동수재(乙巳關東水災)」는 1605년(선조 38) 강원도 지방에서 폭우로 인해 큰 수재가 발생한 데 대한 우민(憂悶)을 나타낸 것이다. 「아중가비사어호(阿中家婢死於虎)」는 자기 집 노복이 호랑이에 물려 죽은 것을 슬퍼한 내용이다. 「비파녀(琵琶女)」 등 서정과 낭만을 노래한 것도 있으나, 대부분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어두운 색조를 띠고 있다.
서(書)의 「예조답대마도주평조신서(禮曹答對馬島主平調信書)」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591년 예조에서 대마도주와 교환한 서신으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여소수서원원장분의도감서(與紹修書院院長奮義都監書)」는 정유재란이 끝난 뒤 의병에 대한 포상 문제에 관해 언급한 내용이다.
소의 「차사은사장부경걸근친소(差謝恩使將赴京乞覲親疏)」·「해주주가시소(海州駐駕時疏)」·「논팔조소(論八條疏)」·「근친후환경상소(覲親後還京上疏)」·「논군무소(論軍務疏)」 등은 임진왜란을 치르는 동안 모운사(募運使)·병조참의 등으로 있으면서 국방과 시사 문제 등에 관한 상소문으로 저자의 활약상을 엿볼 수 있다.
임진왜란의 전란사 연구에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