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소설 ()

목차
현대문학
개념
신문 지면에 연재하는 소설.
목차
정의
신문 지면에 연재하는 소설.
내용

프랑스·일본·한국 등의 신문에서 볼 수 있는 연재소설로서 우리 나라의 경우는 일본에서 배워온 신문 제작 방법에 근거하는 것 같다.

신문소설이 우리 나라에서 처음 신문지면에 선보이기 시작한 것은 1903년 ≪한성신보 漢城新報≫로서, 이 신문은 일본인이 발행한 신문이며, 이 때 연재된 소설은 무서명(無署名)의 <대동애전 大東崖傳>이었다.

그 뒤 ≪대한일보≫·≪대한매일신보≫·≪황성신문≫·≪제국신문≫ 등에 소설이 연재되었는데, 실제로 작자명을 밝히고 연재하기 시작한 것은 1906년 ≪만세보≫에 연재된 <귀(鬼)의 성(聲)>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 뒤 신소설로서 신문에 연재하여 독자의 인기를 끈 작품으로는 이인직(李人稙)의 <혈의 누(淚)>와 조일재(趙一齋)의 <장한몽 長恨夢>이었다.

근대소설의 효시로 불리는 이광수(李光洙)의 <무정 無情>이 ≪매일신보≫에 연재된 것은 1917년이다. 1920년대에 들어와서 ≪동아일보≫·≪조선일보≫·≪시대일보≫·≪중외일보≫ 등이 발간되면서 신문소설은 신문지면 구성의 중요 부분이 되었으며, 이들 신문에 연재한 소설로 한국 소설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소설로는 다음과 같다.

이광수의 <단종애사 端宗哀史>(동아일보, 1928∼1929), <흙>(동아일보, 1932∼1933), <유정 有情>(조선일보, 1933∼1934) 등과 김동인(金東仁)의 <젊은 그들>(동아일보, 1930∼1931), <운현궁(雲峴宮)의 봄>(조선일보, 1933∼1934), 염상섭(廉想涉)의 <삼대 三代>(조선일보, 1931), 심훈(沈熏)의 <상록수 常綠樹>(동아일보, 1935∼1936), 홍명희(洪命熹)의 <임거정 林巨傳>(조선일보, 1928년 이후 1938년까지 4차에 걸쳐 연재) 등이 있다.

신문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은 김말봉(金末峰)의 <밀림 密林>(동아일보, 1935), <찔레꽃>(조선일보, 1936)과 박계주(朴啓周)의 <순애보 純愛譜>(매일신보, 1940), 김내성(金來成)의 <마인 魔人>(조선일보, 1939) 등을 들 수 있는데, 탐정소설인 후자를 포함하여 모두 통속소설 혹은 대중소설이라고 하며, 신문소설은 곧 통속소설이라는 관념을 은연중 형성하게 되었다.

신문소설이 흥미 위주의 통속소설이 된 이유는 신문의 영업 정책에 순응해야 하였고 연재 중에도 신문사측의 요구와 독자의 반응에 영향받게 된 때문이다. 결국, 상업주의적 저널리즘은 특히 1935년 이후 신문이 어느 정도 영업상 수지타산이 맞게 된 시기에 신문연재소설에 큰 작용을 하게 되었다.

이 때부터 신문소설의 통속성 내지는 대중성이 정착된 듯하다. 그러므로 1935년 이후의 신문소설의 통속소설적 성격을 모든 신문소설의 공통적 성격으로 규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한국 현대소설의 전통을 단편소설에서 찾는 견해는 신문소설의 통속성을 전제로 한 것으로 보인다. 소설의 본질은 시대적 총체성과 인간의 탐구 내지는 당위적 인간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설의 본질을 열악한 시대적·사회적 상황하에서도 추구해 나간, 개화기 이후 식민지시대에 발표된 신문소설의 공적은 옳게 평가되어야 한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혈의 누>·<무정>·<삼대>·<흙>·<상록수> 등의 신문소설의 문학사적 평가는 신문소설의 또 다른 성격을 드러낸 것이다.

즉, 신문소설의 사회교화적 기능과 작품 발표의 또 다른 기관의 역할을 신문이 한 것으로 의의 있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초기의 신문소설은 계몽 수단으로, 작가의 사상이나 이념을 독자에게 전파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표되었다가 시대와 사회적 상황에 따라 신문소설의 특징이 변해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조선신문학사조사』(백철, 백양당, 1949)
『한국개화기소설의 사적연구』(송민호, 일지사, 1975)
『한국신문사』(최준, 일조각, 1977)
『한국현대문학사』(조연현, 성문각, 1982)
『신소설연구』(전광용, 세문사, 198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