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복선사 ()

목차
불교
유적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南漢山)에 있었던 고려후기 제25대 충렬왕 당시 중건된 사찰.
목차
정의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南漢山)에 있었던 고려후기 제25대 충렬왕 당시 중건된 사찰.
내용

절이 있었던 자세한 위치는 미상이다. 이곡(李穀)이 쓴 중수기에 의하면, 이 절의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주변 마을이 생겼을 때부터 있었다고 하며, 그 뒤 여러 차례 폐허가 되었다고 한다.

고려 충렬왕 때 동지민장총관부사(同知民匠摠管府事) 박군(朴君)의 아버지가 사재를 희사하여 폐허화된 절을 중건한 뒤 임금의 복과 아들의 출세를 위해서 기도하였다. 그 뒤 박군은 아버지의 지극한 사랑을 기리기 위해서 이 절을 중수하였다.

공사는 1314년(충숙왕 1)에 시작하여 10년 동안 계속하였으며, 공사감독은 영구(永丘)가 맡았다. 이 때 법당과 요사채·산문·회랑 등을 모두 갖추었다.

절이 완공되자 박군은 좋은 땅 15결(結)을 시주하였고 부인 김씨는 금속화폐 500관(貫)을 시주하여 공양과 향화(香華)를 위한 재산으로 충당하였다. 이때부터 이 절은 선승(禪僧)들의 수도처로 쓰였으나, 그 뒤의 역사는 미상이며, 조선 중기까지는 존립하였다.

참고문헌

『하남지역 불교유적에 대한 연구』(황보경, 『고문화』56, 2000)
『한국불교사찰사전』(이정, 불교시대사, 1996)
『동문선(東文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