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석인본. 1981년 증손 정중(晶中)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과 권말에 안종선(安鍾宣)의 발문이 있다.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에 있다.
권1에 시 200여 수, 권2에 서(書) 58편, 서(序) 1편, 기(記) 6편, 발(跋) 4편, 상량문 1편, 제문 4편, 묘지명 1편, 행장 3편, 권3은 부록으로 제문·만사·가장·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연작으로 된 「호상십영(湖上十詠)」·「석수암단오회(石水菴端午會)」 등과 서정시 「파초(芭蕉)」·「주망(蛛網)」·「현조(玄鳥)」 등을 비롯하여 황병중(黃炳中)·김류(金瀏) 등을 대상으로 지은 증여시(贈與詩)가 있고, 그밖에 금강산(金剛山)·내장산(內藏山) 등을 여행하면서 지은 다수의 유람시가 실려 있다.
서(書)는 심기택(沈琦澤)·조성가(趙性家)·채상필(蔡相弼) 등과 주고받은 것으로, 그 가운데 「답이직지사(答李直指使)」는 1898년(광무 2) 직지사 이승욱(李承旭)에게 종사(宗事)에 관하여 협조를 요청한 편지이고, 조성가에게 보낸 「답조직교(答趙直敎)」·「여조직교(與趙直敎)」 등 10여 편의 편지는 2년 전에 일어난 동학란을 비롯하여 민비시해사건과 단발령 등에 항거하여 일어난 의병운동의 단편적 상황 설명과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밖에 「남원진씨족보서(南原晉氏族譜序)」와 1885년 이상규(李庠珪)가 강진현감에 재임하면서 수인산성 남문의 비각(碑閣)을 수리한 사실을 기록한 「수인산성남문중수기(修仁山城南門重修記)」, 스승과 기양연(奇陽衍)을 대상으로 지은 제문 등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