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집 ()

목차
관련 정보
심재집 / 심자도설
심재집 / 심자도설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곤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곤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석인본. 1967년 손자 경의(景儀)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여창현(呂昌鉉)의 서문, 권말에 박영봉(朴永鳳)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588수, 권3·4에 서(書) 7편, 논(論) 14편, 경의문답(經義問答) 17편, 녹(錄) 1편, 설(說) 1편, 서(序) 10편, 기(記) 6편, 발(跋) 1편, 상량문 1편, 통문(通文) 2편, 제문 2편, 권5는 부록으로 서(書) 3편, 서(序)·가장·행장·묘갈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비교적 많은 분량으로 시형도 다양하다. 「추사(秋思)」·「산행우성(山行偶成)」·「추진(秋盡)」 등은 가을에 대한 계절적 감각을 읊은 것이며, 「도림회고(道林懷古)」·「석담(石潭)」·「산중우음(山中偶吟)」 등은 모두 연작시로 경치와 감정을 조화시킨 서경시이다.

서(書)의 「상노사기선생(上蘆沙奇先生)」은 스승 기정진(奇正鎭)에게 보낸 것으로 경의(經義)에 대한 질문 등 학문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상순상(上巡相)」은 곡성현감 대신 순찰사에게 올린 것으로,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겪는 고초를 말하고 부역을 경감해 줄 것을 건의한 내용이다.

논에는 「순경역산어뇌택도하빈론(舜耕歷山漁雷澤陶河濱論)」·「치홍수론(治洪水論)」·「존산존수론(尊山尊水論)」 등 중국 요순 시대(堯舜時代)의 예를 들어 왕도 정치의 표본을 역설한 글이 많다. 경의문답은 주로 『논어』·『맹자』를 중심으로 문답한 것이다.

「존심록(存心錄)」은 존심·함양의 수양 방법을 38개 항목에 걸쳐 기록해 놓은 것이다. 「심자도설(心字圖說)」은 심(心)에 대한 저자의 심성론적 견해를 도상으로 정리해 설명한 것으로 심학(心學)에 대한 학문적 깊이를 짐작하게 한다.

이밖에 「압록원방천조주역사행나걸시문(鴨綠院防川造舟役事行儺乞施文)」은 저자가 사는 고장 앞을 흐르는 압록원 방천을 막아 홍수의 피해를 줄이는 한편, 통행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배를 건조하자는 내용으로 발의한 통문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