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1책. 목활자본. 1906년 후손인 범두(範斗)·희룡(喜龍)·이검(离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방후손 석기(錫祺)와 송병순(宋秉珣)의 서문과 세계가 있으며, 권말에 희룡·석환(錫鐶)·석형(錫炯) 등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4에 시 570여수, 부록에 다른 사람이 지은 시 21수, 서(序) 1편, 창수제현록(唱酬諸賢錄)·심적당유고실록(心適堂遺稿實錄) 등이 실려 있다.
이 책의 핵심이 되는 시에는 「영죽(詠竹)」·「강천모설(江天暮雪)」·「평사낙안(平沙落鴈)」·「방우가(放牛歌)」 등 서정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내면적 정신세계를 읊은 것과 증여(贈與)의 의도에서 지은 것을 비롯하여 만시와 다수의 연작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광범위한 소재와 형식을 취한 작품이 고루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 실린 시는 이수광(李晬光)·신흠(申欽)·정엽(鄭曄)·최경창(崔慶昌)·유준겸(柳浚謙) 등이 지은 것이다. 이밖에 저자가 교유한 사람들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창수제현록」과 후손 정림(定林)·석필(錫必) 등이 쓴 「유고기(遺稿記)」가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