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길 ()

목차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에서 무진주의 주리를 역임한 호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무진주
주요 관직
주리(州吏)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에서 무진주의 주리를 역임한 호족.
내용

문무왕 때 무진주(武珍州 : 지금의 光州)의 주리(州吏)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권2 문호왕법민조(文虎王法敏條)에 의하면 문무왕의 서제(庶弟) 거득공(車得公)이 재상이 되기 전에 국내를 밀행하면서 민간의 요역(徭役)의 노일(勞逸), 조부(租賦)의 경중, 관리의 청탁을 살피고자 하여 거사(居士)의 모양을 하고 순행을 하다가 무진주의 주리 안길의 집에서 극진한 대접을 받고 뒤에 재상이 되었다.

당시 국제(國制)에는 각 주의 향리(鄕吏) 한 명이 서울인 경주에 와서 제조(諸曹)에 상수(上守)하게 하고 있었는데, 안길도 상수할 차례가 되어 서울에 왔다가 거득공을 만나보게 되고 그 이전의 거득공을 대접한 공(功)으로 왕에게 상을 받게 되었다.

이 때 받은 상을 보면 성부산(星浮山, 혹은 星損乎山) 아래의 땅을 무진주의 상수리(上守吏) 소목전(燒木田)으로 받았고, 또 산 아래의 전(田) 30묘(畝)도 받았다. 이 기사는 지방세력 억제의 의미가 있는 상수리제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

물론, 이 제도의 기원은 삼국시대부터일 것으로 여겨지지만 후일 고려시대의 기인제도(其人制度)로 발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 기사가 기인제도의 기원과 관련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성호사설(星湖僿說)』
「통일신라(統一新羅) 지배체제(支配體制)의 재정비(再整備)」(김철준, 『한국사』3, 국사편찬위원회, 1978)
「고대국가(古代國家) 성장과정(成長過程)에 있어서의 대복속민시책(對服屬民施策)」(한우근, 『역사학보(歷史學報)』12, 1960)
「기인(其人)의 성격(性格)에 대한 고찰(考察)」(김철준, 『역사학보(歷史學報)』10, 195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