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반 ()

목차
관련 정보
떡판
떡판
식생활
물품
흰떡이나 인절미 등을 치는 데 쓰이는 받침.
이칭
이칭
병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흰떡이나 인절미 등을 치는 데 쓰이는 받침.
내용

안반(案盤) 또는 병안(餠案)이라 한다. 안반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가로 1m, 세로 1. 5m, 두께 15∼20㎝ 정도의 나무판을 흔히 쓰며 네 귀에 짧은 다리를 붙인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가로 2m, 세로 50㎝ 정도의 좁고 긴 나무판으로 만드는데, 한쪽은 반반하게 두고 다른 한쪽은 우묵하게 파서 우묵한 곳에 넣고 떡을 친 다음 옆의 반반한 판에서 썰도록 만든다.

떡을 칠 때에는 안반 위에다 찐 떡덩이 또는 밥덩이를 올려놓고 한옆에서 적절하게 물기를 주어가면서 떡치는 사람이 공이로 힘차게 쳐서 매끄러운 떡이 되게 한다. 떡을 치는 공이는 떡메라고 하는데, 둥글고 기름한 나무토막(지름 15㎝, 길이 20㎝ 내외) 가운데에 긴 자루를 붙인 것, 양옆의 작은 손잡이에 끈을 매고 이를 들었다가 내리치도록 만든 것 등이 있다.

안반은 느티나무로 만든 것이 가장 좋으며, 떡메는 황양목(黃楊木)으로 깎은 것을 손꼽는다. 조선시대의 가정에는 안반과 떡메가 상비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