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서우 ()

고전시가
인물
조선 후기에, 태안군수, 울산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양기재유고』, 『양기재산고』 등을 저술한 문신.
이칭
봉거(鳳擧)
양기옹(兩棄翁), 양기재(兩棄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64년(현종 5)
사망 연도
1735년(영조 11)
본관
광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태안군수, 울산부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양기재유고』, 『양기재산고』 등을 저술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봉거(鳳擧), 호는 양기옹(兩棄翁) 또는 양기재(兩棄齋).

생애와 활동사항

1694년(숙종 20) 문과에 급제하였고, 성묘종사사건(聖廟從祀事件)에 연루되어 30년간 낙척(落拓)하였으며, 태안군수·울산부사를 지낸 뒤에는 무주에 살면서 산수승경을 즐기며 은거생활을 하였다.

작품으로 연시조인 「유원십이곡(楡院十二曲)」 13수를 비롯한 19수의 시조를 남겼다. 시조작품들의 주제를 살펴보면, 수분안행(守分安行 : 자신의 분수를 지켜 편안하게 지냄.)·은거(隱居)·청산옥수(靑山玉水)·백운청산(白雲靑山)·경전채초(耕田採樵 : 밭을 갈고 산에 올라 땔나무를 마련함.)·청풍명월·물외한정(物外閑情:속세를 떠나 한가로운 정을 느끼며 삶.) ·백운백구(白雲白鷗)·강호구로(江湖鷗鷺 : 강호에 한가로이 나는 갈매기와 백로)·도연명(陶淵明)·효(孝)·물외한거(物外閒居)·근신(謹愼)·옥봉운(玉峰雲)·적성하(赤城霞 : 적성에 낀 안개)·산촌은거·산수연하(山水烟霞)·벽봉창파(碧峰蒼波 : 푸른 봉우리와 푸른 물결)·연하풍월(烟霞風月 : 고요한 산수의 경치와 자연의 아름다움.) 등으로 나뉜다.

작품 대부분이 산촌에 은거하면서 자연을 즐기며 자족한 작품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도연명의 귀거래적(歸去來的)인 사상이 각 시조작품에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그의 문집으로 『양기재유고』와 『양기재산고』가 있다.

참고문헌

『시조의 문헌적연구』(심재완, 세종문화사,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