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87㎝. 1974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원래 고성읍 우산리 우방사지(牛房寺址)에 있었던 것을 양화리의 현 무량사(無量寺)로 옮겨 용화전(龍華殿)에 봉안하였다.
우방사의 연혁이나 내력에 대해서는 전해오는 문헌기록을 찾을 수 없다. 광배(光背)는 얼마 전까지 우방사지에 있었다고 하나 전해지지 않으며 불상의 오른쪽 이마 · 코 · 목 · 손 등이 파손되었다. 나발(螺髮)의 머리로 정수리에 얹혀진 낮은 육계는 시멘트로 복원한 것이다.
나발은 선각에 가까울 만큼 낮게 새겨졌다. 갸름한 얼굴은 볼륨이 있으며 눈과 코 등이 손상을 입었으나, 이목구비가 가지런히 표현되어 단정하고 부드러운 인상이다. 귀는 짧은 편이며 머리가 떨어진 것을 시멘트로 보수하여 접합시켰다.
큼직하게 넓은 어깨에 통견의 법의(法衣)를 걸쳤으며, 왼쪽어깨에서 가슴을 가로지르며 오른쪽 겨드랑이로 이어지는 내의를 입고 있다. 옷을 얇게 표현하여 신체의 굴곡이 잘 드러난다.
오른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손바닥을 밖으로 향한 채 거의 어깨까지 들어올리고 있다.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무릎 위에 놓았다. 대좌는 불단에 가려져 보이지 않으나 가부좌(跏趺坐)를 틀고 안정된 자세로 앉아 있다.
이 상은 뒷면까지 표현한 완전한 원각상(圓刻像)으로 원만한 상호(相好)와 넓은 어깨, 당당한 가슴 등 균형잡힌 신체에 양감이 풍부한 표현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