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록해 ()

목차
관련 정보
어록해
어록해
언어·문자
문헌
1657년 정양이 중국의 속어를 한글로 풀이한 사전. 중국속어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657년 정양이 중국의 속어를 한글로 풀이한 사전. 중국속어사전.
내용

1책. 목판본. 권말에 한어집람자해(漢語集覽字解), 부록 및 저자의 발문이 붙어 있다. 저자의 발문에 의하면 『어록해』란 본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나온 것다.

이것은 중국의 이어(俚語), 곧 속어를 문인에게 가르치기 위하여 주해한 것이었다. 이 책은 이황의 주해서인 『계훈(溪訓)』 외에 유희춘(柳希春)의 『미훈(眉訓)』 및 기타 주해서에서 긴요한 것을 뽑아 한글과 한자로 주해하여 편찬한 것이다.

책의 구성은 어록해 44면, 한자집람자해 약 3면, 부록 약 8면, 발문 약 2면 등으로 되어 있다. 어휘는 자류(字類)로 배열하여 1자류 183어, 2자류 831어, 3자류 88어, 4자류 65어, 5자류 13어, 6자류 2어로 총어휘수는 1,182어이다. 이 책은 17세기 중반의 자료로서 근세국어의 표기 및 음운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오구라(小倉進平)소장본과 서울대학교 가람문고본이 있다.

참고문헌

「어록해(語錄解)에 대하여」(박갑수, 『이응백박사회갑기념논문집』, 보진재,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