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국악
개념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음악형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음악형식.
내용

엽에는 대엽(大葉)·중엽(中葉)·소엽(小葉)·부엽(附葉)·이엽(二葉)·삼엽(三葉)·사엽(四葉)·오엽(五葉)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엽은 「봉황음(鳳凰吟)」·「진작(眞勺)」·「정읍(井邑)」 등의 옛 장가(長歌)에서 전강(前腔)·중강(中腔)·후강(後腔) 등과 함께 쓰였는데, 대부분 강보다 뒤에 나타나므로 전체 악곡의 뒷부분에 오는 점에서 「한림별곡」과 「유림가」의 엽과 상통한다.

그리고 각 엽의 길이는 일정치 않은데, 대엽과 오엽이 가장 길고 삼엽과 사엽이 가장 짧다. 또한 이처럼 강과 엽으로 구성된 「진작」같은 악곡은 ‘삼강팔엽’의 형식으로 되었다고도 한다.

또한 대엽은 독립된 곡명으로도 쓰였는데, 조선 중기의 악보『현금동문류기(玄琴東文類記)』에는 4곡의 대엽이 기록되었다. 이 대엽곡은 「진작」같은 옛 장가의 대엽 부분이 따로 독립하여 성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만대엽(慢大葉)·중대엽(中大葉)·삭대엽(數大葉)의 원곡으로 보인다. 대엽은 다섯개의 지(旨)와 여음(餘音)으로 되어서 후대의 가곡(歌曲)처럼 시조시를 사설로 썼음이 분명하다.

엽이란 용어는 중국의 산곡(散曲) 중의 소령(少令)을 지칭 하는 엽아(葉兒)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고, 일본 고대 노래를 수록한 『만엽집(万葉集)』의 엽과 같은 의미로 추정되기도 하나 확실치 않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