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 구계리 석조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영산 구계리 석조여래좌상
영산 구계리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구계리 영산 상수도 수원지(水源池) 부근에 있는 석불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창녕 구계리 석조여래좌상(昌寧 九溪里 石造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2년 02월 12일 지정)
소재지
경남 창녕군 영산면 구계리 1264-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구계리 영산 상수도 수원지(水源池) 부근에 있는 석불좌상.
내용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주형 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를 한 돌에 새긴 좌상이다.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여 대체적인 윤곽만으로 형체를 짐작해 볼 수 있을 뿐 보다 상세한 세부 표현은 알아보기 어렵다.

얼굴은 긴 타원형으로 소발(素髮 : 민머리)의 머리에 크고 높은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를 나타내어 마치 모자를 쓰고 있는 듯 보인다.

얼굴에는 두툼하게 큰 코만 남고 세부가 없어져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거의 알아볼 수 없다. 코 좌우를 양쪽 깊이 파낸 흔적이 있다. 코를 입체감 있게 하거나 얼굴에 볼륨을 주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으나 기술 수준이 낮아 의도한 효과를 볼 수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코 밑에는 입이 매우 작게 새겨졌는데 후대에 가해진 표현으로 추정된다. 얼굴과 목의 구분도 명확치 않으며 목에는 삼도가 마모되어 버린 것인지 현재는 찾아볼 수 없다. 귀 역시 매우 투박하고 긴 편이나 어깨까지는 닿지 않았다.

어깨는 각이 졌으며 여기에 걸쳤을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형태를 알아볼 수 없고 법의 주름도 남아 있지 않다.

손은 없어졌으나 왼팔이 자연스럽게 몸 안쪽으로 휘어 들어간 데 비해 오른 팔꿈치가 밖으로 약간 뻗쳐 있는 등의 팔의 윤곽으로 보아 수인(手印)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라 짐작된다. 자리 밑에는 마치 방석 위에 앉은 듯 굵은 띠 모양의 대를 새기여 대좌 표현을 의도하였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따로 표현하지 않았다.

내부에는 아무런 조식(彫飾 : 잘 다듬어 꾸밈) 흔적조차 없는 것으로 보아 처음부터 표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입체감을 전혀 느낄 수 없는 평판적인 신체에 법의 표현도 남아 있지 않다.

그리고 매우 미숙한 조각 기법에 세부 표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완성도가 매우 낮다. 또한 불상이라 보기도 어려울 만큼 형태가 마모되어 경건한 예배 대상으로서의 느낌보다는 정겨운 민속 조각의 느낌이 강하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심영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