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주형 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를 한 돌에 새긴 좌상이다.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여 대체적인 윤곽만으로 형체를 짐작해 볼 수 있을 뿐 보다 상세한 세부 표현은 알아보기 어렵다.
얼굴은 긴 타원형으로 소발(素髮 : 민머리)의 머리에 크고 높은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를 나타내어 마치 모자를 쓰고 있는 듯 보인다.
얼굴에는 두툼하게 큰 코만 남고 세부가 없어져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거의 알아볼 수 없다. 코 좌우를 양쪽 깊이 파낸 흔적이 있다. 코를 입체감 있게 하거나 얼굴에 볼륨을 주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으나 기술 수준이 낮아 의도한 효과를 볼 수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코 밑에는 입이 매우 작게 새겨졌는데 후대에 가해진 표현으로 추정된다. 얼굴과 목의 구분도 명확치 않으며 목에는 삼도가 마모되어 버린 것인지 현재는 찾아볼 수 없다. 귀 역시 매우 투박하고 긴 편이나 어깨까지는 닿지 않았다.
어깨는 각이 졌으며 여기에 걸쳤을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형태를 알아볼 수 없고 법의 주름도 남아 있지 않다.
손은 없어졌으나 왼팔이 자연스럽게 몸 안쪽으로 휘어 들어간 데 비해 오른 팔꿈치가 밖으로 약간 뻗쳐 있는 등의 팔의 윤곽으로 보아 수인(手印)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라 짐작된다. 자리 밑에는 마치 방석 위에 앉은 듯 굵은 띠 모양의 대를 새기여 대좌 표현을 의도하였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따로 표현하지 않았다.
내부에는 아무런 조식(彫飾 : 잘 다듬어 꾸밈) 흔적조차 없는 것으로 보아 처음부터 표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입체감을 전혀 느낄 수 없는 평판적인 신체에 법의 표현도 남아 있지 않다.
그리고 매우 미숙한 조각 기법에 세부 표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완성도가 매우 낮다. 또한 불상이라 보기도 어려울 만큼 형태가 마모되어 경건한 예배 대상으로서의 느낌보다는 정겨운 민속 조각의 느낌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