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높이 26㎝, 불상 높이 160㎝. 1986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영은사는 금현리사지로 전하는데, 광주 댐 입구 동쪽에 있는 금현리 노채마을의 동쪽 구릉에 있다. 이 절은 1976년에 창건된 신흥 사찰이며, 대한 불교 법화종 소속이다.
대웅전 안에는 석불좌상이 대 · 중 · 소형으로 3구가 봉안되어 있다. 대형이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불상이다. 이 불상은 예전부터 이곳에 노천불로 전해 왔다고 한다. 소형 석불은 주변 구릉에 있던 것을 옮겨 온 것이다.
대형 석불은 불신과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가 1석으로 되어 있어 그 형식이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과 비슷하다. 오랫동안 노천에 불신이 방치되었던 탓으로 각 부분의 형식이 뚜렷하지 못하다.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원만상에 가까우며 소발(素髮 : 민머리)의 머리칼에 둥그렇고 높은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얹혀 있다.
이마에 백호(白毫 :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를 끼웠던 구멍이 보이며 눈은 희미하며 잘 보이지 않고 콧날은 우뚝하다. 양쪽 귀는 짧은 편으로 어깨가 닿지 않으며 목에는 삼도가 있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인데 어깨 부분에서 몇 줄기 선명하게 나타내다 밑으로 내려오면서 간략화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을 무릎에 얹은 형태의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어깨선은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어 인근의 궁산리마애약사여래좌상과 광주쌍촌동극락암마애불좌상과 비교가 된다.
무릎 아래의 대좌 부분은 매몰되어 있어서 형식을 파악할 수 없다. 광배는 주형 거신광으로 원형의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이 1줄의 선으로 돋아져 있다. 그 주변에는 높이 16cm의 화불 7구를 역시 돋을새김하였다.
이 불상이 있던 절터는 기록이 없어서 알 수 없다. 불상의 조성 시기는 각 부분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을 많이 계승하고 있으면서 어깨선이 거의 직각이고 상호의 풍만감이 없으며 법의가 간소화되었다. 그래서 고려시대 전반기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