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시수 ()

오시수 글씨
오시수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호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덕이(德而)
수촌(水邨)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32년(인조 10)
사망 연도
1681년(숙종 7)
본관
동복(同福: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주요 관직
정언|이조정랑|전라도관찰사|이조판서|호조판서|예조판서|우의정
관련 사건
기사환국|갑술옥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호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덕이(德而), 호는 수촌(水邨). 관찰사 오백령(吳百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찰사 오단(吳端)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오정원(吳挺垣)이다. 어머니는 좌참찬 윤의립(尹毅立)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48년(인조 26) 진사가 되고, 1656년(효종 7)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6품에 승품, 가주서(假注書)가 되고, 정언(正言)·문학(文學)·지평(持平)·교리(校理)·이조정랑을 역임하였다.

1664년(현종 5) 사복시정(司僕寺正)이 되어 평안도암행어사로 다녀왔다. 이어 집의(執義)가 되어 낭선군(朗善君) 이우(李偊)의 강사영조(江舍營造: 강가에 정사를 지음)와 각 사찰에 대한 횡포를 고발하기도 하였다. 이어 응교(應敎)·사인(舍人)을 거쳐 1666년 중시 문과에 장원하였다.

예빈시정·승지를 거쳐 1670년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해 전라도 지방의 기근의 참상을 고발하였다. 그리고 구황책으로 조적(糶糴)·전결(田結)·관노비·속오군(束伍軍)의 병기·염세목(鹽稅木)·군사 문제 등 9개 항목을 개진하였다.

특히 가장 큰 민폐인 납육(臘肉: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의 진상 문제를 건의해 해결했고, 당해 연도의 신역(身役)을 줄이도록 건의하였다.

그 뒤 전라도 지방에 괴탄설(怪誕說)이 나돌아 추고도 당했으나, 벼슬은 승지·예조참의·이조참의·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674년 도승지가 되었다. 숙종이 즉위한 뒤 강화부유수를 거쳐 형조판서에 발탁되었다.

1675년(숙종 1) 총융사 김만기(金萬基) 등과 북한산성의 축성을 건의했고, 선왕 현종의 서거에 대한 청나라의 두 번째 조제사(弔祭使)가 왔을 때 원접사(遠接使)가 되어 이들을 맞이하였다.

이어 이조판서로 발탁되었고, 청나라 조제사들의 반송사(伴送使)가 되었다. 그 뒤 대사헌·우참찬을 거쳐 1676년 호조판서로 발탁되어 농사의 흉황을 역설했고, 특히 새로이 개간한 전지(田地)는 2년에 한해 수세하지 말도록 조처하였다. 이듬해 다시 대사헌·판의금부사·이조판서·예조판서를 지냈다.

1679년 우의정에 올라 말속악습(末俗惡習)인 괘서 금지 방안을 제시했고, 허적(許積)과 같이 전문(錢文)의 변통사를 역설하였다. 또한 정몽주(鄭夢周)의 화상을 모시는 가묘(家廟)를 지어 봉사하도록 하였다.

1680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유배되었다가, 앞서 청나라 조제사가 왔을 때 왕에게 왕약신강설(王弱臣强說) 등 허위 보고를 했다는 이유로 탄핵받고 사사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 때 관직이 회복되고, 1694년 갑술옥사로 다시 관직을 추탈당했다가 1784년(정조 8) 신원 요청으로 다시 관직이 회복되었다. 저서로는 『수촌집』이 있다.

참고문헌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현종개수실록(顯宗改修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순암문집(順菴文集)』
『청선고(淸選考)』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