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애당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인본. 1935년 손자 기원(起源)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태일(李泰一)·홍희화(洪羲和)의 서문과 선원선계(璿源先系)·세계도가 있고, 권말에 서규석(徐奎錫)·강준(康準) 및 기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22수, 권2는 서(書) 5편, 제문 2편, 잡저 1편, 묘지·묘표 각 2편, 행록 1편, 유사 2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묘지명·가장·유사·기(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서정성이 짙은 「동구사류(洞口絲柳)」·「추우(秋雨)」·「동야무제(冬夜無題)」, 스승이자 족조인 이원복(李元馥)과 이원봉(李元鳳)·이원휴(李元休) 등을 대상으로 지은 만시 등이 있다.

이밖에 유람의 서경을 읊은 「한양귀로제일절(漢陽歸路題一絶)」·「과신녕(過新寧)」, 교훈적 내용의 「음독서차제십절(吟讀書次第十絶)」 등 다양한 제재의 시들이 있다.

서(書)에는 이원복·이원봉에게 학문을 질의한 내용의 「상남파족조(上南坡族祖)」·「여남와족조(與南窩族祖)」 등이 있다. 잡저의 「대학차의(大學箚疑)」는 『대학』에서 의문나는 부분을 60여 개조에 걸쳐 의논한 내용이다.

부록의 「오애당기(五愛堂記)」에는 저자가 애친·애군(愛君)·애형제·애민·애물(愛物)의 오애당이라 자호하며 그 실행에 힘썼음이 잘 나타나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