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 송우암 유허비 ( )

목차
관련 정보
옥천 송우암 유허비
옥천 송우암 유허비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에 있는 조선후기 산림 송시열의 출생지를 기념하여 세운 유허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옥천 송시열 유허비(沃川 宋時烈 遺墟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기념물(1979년 09월 29일 지정)
소재지
충북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 134-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에 있는 조선후기 산림 송시열의 출생지를 기념하여 세운 유허비.
내용

1979년 충청북도 시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비신(碑身)의 높이 256㎝, 폭 63㎝, 두께 26㎝로 정조 때 세웠으며, 최근에 보호각을 건립하였다.

송시열의 본관은 은진(恩津)이고,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 또는 화양동주(華陽洞主)이며, 시호는 문정(文正)으로 김장쟁(金長生) · 김집(金集)을 이어 기호학파를 이끌면서 서인 · 노론의 영수로 활약하였다.

1607년 11월 12일 구룡촌(九龍村)에서 출생하였다. 여덟살 때부터 친척인 송이창(宋爾昌)에게서 글을 배웠다. 이 때 그 아들 송준길(宋浚吉)과 같이 공부하면서 이후 평생동안 학문과 정치생활에서 함께 고락을 나누었다.

참고문헌

『전국문화유적총람』2(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인물지』(충청북도, 1987)
집필자
전호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