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암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민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민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8년 김민환의 종증손 김영복(金泳福)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박노중(朴魯重)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채진두(蔡鎭斗), 김영복, 삼종손 김환수(金煥銖), 현손 김필상(金弼相) 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2책. 석인본.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충남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230여 수, 권2에 서(序) 14편, 기(記) 13편, 찬(贊)·명(銘)·잡저 각 3편, 권3∼5에 서(書) 213편, 권6에 제문 15편, 애사·우사(虞辭) 각 1편, 잡저 33편, 권7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영행(詠杏)」·「문앵(聞鶯)」·「홍초(紅蕉)」 등 서정성이 짙게 스민 작품이 있다. 스승 임헌회(任憲晦) 및 교우 전우(田愚)·이상수(李象秀)·신춘조(申春朝)를 포함한 주변 인물과 관련된 증여·차운·애도의 작품과, 그에 부기된 원운시(原韻詩) 등도 있다.

서(序)에는 1868년(고종 5) 서기(徐起)의 『고청집(孤靑集)』을 읽고 자신의 학통 및 학문적 성향 등을 서술한 「독고청집서(讀孤靑集序)」, 제자 김용규(金容圭)가 여행하면서 각 지방의 풍속·인물을 기록한 『원유록(遠遊錄)』에 대한 서문 등이 있다.

잡저의 「어록(語錄)」은 1867년부터 10여 년 동안 저자가 스승과 문답한 여러 가지 내용을 기록한 장편의 글이다. 「중국학통(中國學統)」은 송대(宋代) 이래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중국 정통 유학자의 인명을 기록한 것이다.

서(書)에는 스승 임헌회와 친구 이상수에게 보낸 「상사문서(上師門書)」·「여이오당(與李峿堂)」 각 40여 편, 전우에게 보낸 30여 편이 있다. 이밖에 서정순(徐政淳)·신기선(申箕善)·윤치중(尹致中) 등 몇몇 친척·문인들에게 학문적 내용을 질의하고, 일상사에서 겪게 되는 갖가지 문제들을 상의한 글도 있다.

부록에는 성리학에 관한 선현들의 학설을 채록한 「성론기술(性論記述)」, 의례(儀禮)를 각종 서적에서 단편적으로 발췌한 「예목촬록요절(禮目撮錄要節)」이 있다. 이밖에 「향약계목(鄕約契目)」·「강록(講錄)」·「고산선생유사(鼓山先生遺事)」 및 전우가 쓴 저자의 행장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