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4.8m. 1973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 주변에서 ‘龍雲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절 이름이 밝혀졌다. 기단부(基壇部)는 단층기단으로 되어 있다.
중석은 4매 판석으로 조성하였고,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있으며 중앙에는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있다. 갑석(甲石)은 위에 완만한 경사를 이루었으며 중앙에는 16판 앙련(仰蓮)을 조각한 굄돌이 있어 탑신(塔身)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에는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을 각각 돌 하나씩으로 조성하였으며, 옥신에는 우주가 있다. 옥개석은 밑에 4단의 받침이 있으며 추녀는 수평을 이루고 있다. 낙수면(落水面)의 경사는 완만한 편이며, 전각(轉角)은 반전(反轉)되어 있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 · 복발(覆鉢) · 앙화(仰花)를 갖추고 있다. 기단부 갑석 일부에 손상이 있을 뿐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석탑으로,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인 아름다운 연화문(蓮華文) 굄돌이 탑신을 받치고 있어 탑신부의 각 층 비례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