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장사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남산 용장사지
경주 남산 용장사지
불교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남산(南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남산(南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사찰.
내용

일제강점기 이 계곡을 발굴 조사할 때 용장사라고 쓴 기와조각이 발견, 확인되었다. 이 절은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서 유가종(瑜伽宗)의 고승인 대현(大賢)이 살고 있었는데, 그가 이 절에 있는 장륙상(丈六像)의 주위를 돌며 예배하면 불상도 그를 따라 얼굴을 돌렸다고 한다.

또, 조선 초기에는 말년에 승려가 된 김시습(金時習)이 이절에 기거하면서 『금오신화(金鰲神話)』를 썼는데 이때까지만 해도 용장사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이 절터에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과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1987년 보물로 지정된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등 중요한 문화유산들이 산재하고 있다. 이 중 석불좌상은 자연석의 기단부 위에 연화(蓮華)를 양각한 3층의 원형좌대를 탑의 옥개석과 같이 놓고 그 위에 불상을 안치하였다.

또, 삼층석탑도 자연석을 지대석으로 이용하고 그 위에 석탑을 올린 것으로 용장사 주위의 계곡 어디에서나 이 탑을 볼 수 있게 건립하였다. 불상보다 더 높은 위치에 탑이 세워진 것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이며, 탑과 대좌가 자연석을 기단으로 한 것도 이러한 의미에서이다. 또, 원형불상대좌 옆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은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수려한 작품이다. 상호(相好)는 단아하고 머리에는 나발이 선명하며 의문(衣文)은 가는 평행선으로 음각하였다. 이 밖에도 삼층석탑의 위쪽에는 폐탑(廢塔)이 있으며, 용장사계가 끝나는 산꼭대기 바위에는 거대한 불좌(佛座)가 있다. 자연암석 위에 연꽃을 새긴 것으로 지름 1.5m, 둘레 5.5m이다.

참고문헌

『삼국유사』(경주시, 1982)
『고도경주』(경주시, 1982)
『신라의 폐사』Ⅱ(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