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본존불 195㎝, 오른쪽 불상 164㎝, 왼쪽 불상 170㎝. 이 석불은 현재 조그마한 암자 안에 안치되어 있는데, 많은 부분이 시멘트로 보수되었으며 광배 일부도 떨어져 나가 원형을 잃었다. 본존불좌상만 국가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입상인 협시불들은 제외되었다.
본존불은 지장보살처럼 민머리를 하고 있고 얼굴은 둥글며 원만하나 약간 둔중하게 보인다. 귀는 형식화되어 어깨까지 내려오고 목에는 삼도가 돌려져 있다.
법의는 통견이며, 옷 주름은 U자형으로 도식화되었는데 층단문이 밀집되어 있다. 수인은 왼손을 복부 앞에 대고 그 안에 약호를 쥐고 있어 약사불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손은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서 무릎에 올려 놓았다. 다리는 결가부좌하였으나 폭이 좁아 다소 불안정하다.
대좌는 장방형이며 앞뒤 면에 중판 6엽, 좌우 면에 3엽씩 모두 16엽의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무늬)이 조각되어 있다. 그 밑으로 중대석과 복련(覆蓮) 하대석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매몰되어 있어서 확인할 수 없다. 광배는 머리 윗부분이 떨어져 나간 거신광이며, 시멘트로 겉면을 발라 원형을 알 수 없다.
본존불 양옆으로 협시불이 서 있다. 오른쪽 불상의 얼굴은 역시 시멘트로 보수하여 원래의 형태를 알 수 없고 형식화된 복련대좌 위에 광배를 갖추고 있다. 머리는 민머리인 지장보살형이며 목에 삼도가 나타나고 수인은 합장을 하고 있다. 왼쪽 불상 역시 상호에 시멘트를 칠하여 원형을 알 수 없다. 목에는 삼도가 보이며 옷 주름은 형식화되었다. 양손으로 정병을 쥐고 있으며 발 아래에 복련대좌가 있고 광배를 갖추었다.
이 삼존불은 보수를 하여 원래의 모습을 확인하기 힘들지만, 본존불의 대좌와 양 협시불을 살펴볼 때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