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흥사 부도군 ( )

목차
관련 정보
담양 용흥사 부도군
담양 용흥사 부도군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용흥사 입구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의 사리를 봉안한 7기의 불탑. 부도군.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용흥사부도군(龍興寺浮屠群)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6년 02월 07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담양군 용흥사길 442 (월산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용흥사 입구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의 사리를 봉안한 7기의 불탑. 부도군.
내용

7기. 1986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부도들은 모두 조선시대에 조성되었으며, 형식은 세부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모두 팔각당식이다.

왼쪽에서부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탑신에 ‘靑心堂雙忍(청심당쌍인)’이란 당호가 음각되어 있다. 쌍인이란 스님의 행적은 알 수 없으나 1644년(인조 22)에 주조된 용흥사 범종에 ‘大禪師雙忍比丘(대선사쌍인비구)’란 명문이 보여 이 스님의 활동시기가 17세기였음을 알 수 있다. 높이는 235㎝이다.

② 탑신에 ‘越□堂大師一玉(월□당대사일옥)’과 ‘康熙五年丙午(강희5년병오)’란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조성연대는 1666년이며 높이는 238㎝이다.

③ 탑신에 ‘松栢堂□主(송백당□주)’와 ‘康熙五十六年丁酉강희56년정유)’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조성연대는 1717년(숙종 43)이며 높이는 230㎝이다.

④ 탑신에 문액은 뚜렷하지만 마멸이 심해 명문은 판독할 수 없다. 높이는 240㎝이다. ⑤ 팔각당식의 부도이며 높이는 230㎝이다.

⑥ 탑신에 ‘幻影堂斗浻(환영당두형)’과 ‘乾隆五年庚申立(건륭5년경신입)’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조성연대는 1740년(영조 16)이며 높이는 200㎝이다.

⑦ 탑신에 ‘退菴之塔(퇴암지탑)’과 ‘乾隆癸丑十一月日(건륭계축11월일)’이란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조성연대는 1793년(정조 17)으로 이 부도군에서 가장 늦게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200㎝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전라남도, 1992)
「담양군(潭陽郡)의 불교유적 및 도요지(陶窯址)」(이태호 외, 『담양군문화유적학술조사』, 전남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 담양군,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