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고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운고유고
운고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황하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황하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활자본. 1942년 6세손 호일(鎬一)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병승(閔丙承)·안규용(安圭容)의 서문이, 권말에 송명회(宋明會)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00수, 권2는 서(序) 1편, 기(記) 3편, 권3·4에 부록으로 만사 40수, 제문 2편, 행장·묘지명·묘갈명·유생정본관장(儒生呈本官狀)·도내유생정순영장(道內儒生呈巡營狀)·정수의장(呈繡衣狀)·정예조장(呈禮曹狀)·도내유생상언(道內儒生上言)·예조회계(禮曹回啓)·정려관문(旌閭關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사시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기후에 감정을 싣고 인생의 무상함을 술회하는 내용이 많다. 「제석(除夕)」은 새해를 맞이할 즈음 선물이 오고가는 산촌의 순풍을 노래한 것이고, 「정해춘정시방방목(丁亥春庭試放榜目)」은 창방성(唱榜聲)에 희비의 쌍곡을 이루는 광경을 조소하는 내용이다.

서(序)의 「분자서(分眥序)」는 자산(資産)을 나눈 일에 대한 것이고, 「청계당기(聽溪堂記)」는 아버지가 송성담(宋性潭)으로부터 청계당이라는 호를 받은 데 대한 기록이다.

부록의 「유생정본관장」 등 6편의 정장(呈狀)은 모두 저자의 효행에 대하여 포양(褒揚)을 보고한 내용이다. 「운고당기(雲皐堂記)」는 자신의 호에 대한 기록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