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일반 사대부의 집으로 건축된 것이 아니다. 이 집의 앞 남쪽에 있는 운현궁(雲峴宮)의 사랑채, 안채, 별당채가 노안당(老安堂)ㆍ노락당(老樂堂)ㆍ이로당(二老堂)으로 편액된 것으로 보아 이 집 영노당(永老堂)은 별당채로 건립된 것이다.
이 때문에 평면의 구성은 일반 사대부집과는 다른 바가 있으나, 현 주인이 ㄷ자형 평면의 영노당을 안채와 사랑채가 한채로 지어진 것처럼 사용하고 있다. 남향한 이 집의 서쪽에 빈칸의 광과 2칸 크기의 방을 두어 건넌방으로 쓰고, 이 건넌방 남쪽에 2칸 크기의 방을 두어 사랑방처럼 쓰고 있다.
건넌방의 동측에는 2칸의 대청을 두고 그 동측으로 3칸 크기의 안방이 자리잡고 있다. 안방 동측은 함실아궁이부엌이고 이의 남측에는 2칸 크기의 방이다. 방들과 대청 전면에는 툇마루가 있어 각 방들과 대청이 연결되고 있다.
이 집의 구조는 일고주(一高柱) 오량가(五樑架)로서 세벌대로 쌓은 장대석 기단위에 네모뿔대의 초석을 놓고 방주(方柱)를 세웠다. 사방으로 함석차양을 단 홑처마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대청의 전후면에는 유리분합문을 달았고, 대청의 주간(柱間) 고막이는 사고석과 벽돌로 막았다.
기단위에 화강석 디딤돌을 놓아 대청으로 오르내린다. 특히 이집의 뜰에는 석련지 석함들이 놓이고, 대청 댓돌 석계(石階)의 양측에는 8각단면의 석주(石柱)가 놓였는데, 화분대 등으로 쓰이는 대석(臺石)으로 장식용 석물(石物)의 하나이다. 마당 가운데에 수경(樹景)이 빼어난 노송(老松)이 한 그루 서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