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헌집 ()

목차
관련 정보
운헌집
운헌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광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광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22년 후손 일복(一福)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김규화(金奎華)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매구(李邁久)의 발문과 일복의 후지(後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서울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는 시 33수, 잡저 2편, 기(記) 1편, 제문 1편, 부록으로 제문 5편, 행록략(行錄略)·묘갈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끝에 별도의 『백옥유고(白屋遺稿)』가 합록되어 있다.

시에는 병자호란이라는 국난을 겪으면서 비분강개한 심경을 토로한 작품이 많다는 점이 주목된다. 「춘사(春詞)」는 봄의 화창함을 노래한 것으로 그 내면에는 우국충정의 뜻을 함축하고 있다. 「술회(述懷)」도 역시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의 고난과 치욕을 회고하면서 비분강개한 마음으로 세상사를 잊고 은둔하겠다는 의지를 강렬하게 표현한 것이다. 「문산옹비가(聞山翁悲歌)」도 같은 울분을 드러낸 시이다.

잡저의 「기몽(記夢)」에서는 꿈에서 정이(程頤)를 승방에서 만나 『주역』을 강론하고, 김일손(金馹孫)·정몽주(鄭夢周)를 만나 학문을 배운 일 등을 기록하여 선현들에 대한 숭모사상을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통향약소문(通鄕約所文)」은 병자호란 때 전사한 최진립(崔震立)의 사당을 세울 것을 각 향약소에 발의하는 통문이다. 이밖에 기 1편은 자신의 호에 대하여 설명한 「운헌기(雲軒記)」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